2025년 2학기 중간과제 보건교육방법론
리포트 > 기타
2025년 2학기 중간과제 보건교육방법론
한글
2025.09.06
10페이지
1. 2025년 2학기 중간과제 보건교육방법론.hwp
2. 2025년 2학기 중간과제 보건교육방법론.pdf
미래교육 매체와 우리 학교 도입 제안
교육 매체를 선정·설계할 때는 단순한 '유행 기술'이 아니라 학습과학적 원리에 근거해야 한다.
각 매체군은 강점-한계-보건교육 활용 예순으로 제시합니다.
보건교육용 혼합매체 예시(간단설계)
A.미래 교육 매체 메가트렌드 요약
C.도입 제안(보건교육 중심)
정리하면, 교육 매체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설계변수다.
학습효과의 증대 : 짧은 시연 영상+모바일 형성평가+VR 안전훈련+AI 튜터 질의응답 +학습분석 기반조기 지원처럼, 목표에 맞춘 복합매체 설계로 보건교육의 실습성과 전이를 강화해야 한다.
현재 활용되는 교육매체의 종류와 특징을 체계화하고, ② 1900년대부터 오늘까지 매체 발전사를 통해 변화의 동인을 파악하며, ③ 1972년 설립 이후 방송통신대학교의 시기별 매체 전환을 정리해 우리 학교의 정체성과 강점을 확인하고, ④향후 보건교육의 학습효과와 형평성을 높일 미래 매체 도입을 제안한다.
각 매체군은 강점-한계-보건교육 활용 예순으로 제시합니다.
강점 : 시공간 유연성, 퀴즈·토론·피드백 등 상호작용 가능, 학습 데이터 축적.
PPE 교육 : 짧은 데 모 영상(핵심 절차 신호 주기)→체크리스트 실습(짝피드백) →VR 위험 상황 연습(오염 지점 시각화) →모바일 퀴즈(형성평가)→AI 튜터 Q&A(오 개념 교정)→현장 적용과제(사진/로그제출).
스키너의 프로그램 학습·티칭머신과 초기 **CAI(컴퓨터 보조수업, PLATO 등)* *가 등장해 '개별화·즉시 피드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코로나 19를 계기로 화상수업·HyFlex가 표준화되고, 짧은 동영상·퀴즈·토론을 결합한 모듈형 설계가 자리 잡는다.
의의 : 고등교육 접근성이 낮던 시기, 전국 동시 송출이 가능한 라디오가 원격고등 교육의 주력 매체로 기능. 당시에는 KBS·MBC 채널을 통한 라디오 강의가 KNOU 강의 전달의 핵심이었다.
특징 : 표준화된 음성 강의와 인쇄물 결합으로 동일 품질의 교육을 대량 제공.우편 첨삭지도가 학습 피드백을 보완(이후 수요 급증으로 축소).
1990년 채널·매체 전환 : TV 강의 채널이 EBS로 변경되고, EBS 라디오 강의 송출도 시작되며 '라디오 + TV' 투트랙이 안정화.
2000년대 중반 e-러닝 확산 : 캠퍼스 차원의 LMS 기반 학습관리와 스트리밍 도입이 본격화-방송·인쇄 중심에서 웹 결합형 혼합수업으로 전환.
2008년 라디오 강의 종료: 미디어 소비의 중심이 TV·인터넷으로 이동함에 따라 라디오 송출을 공식 종료(6월 22일).이는 매체 포트폴리오의 디지털 전환이 사실상 완결되었음을 뜻함.
2012년 U-KNOUPLUS 출시 &유튜브 채널 개설 : 앱 서비스 고도화와 함께 공개강의 아카이브를 유튜브로 확장, 학습자의 재생·공유 편의성 증대.
앱 기능 : 공식 앱 U-KNOU 캠퍼스는 '1000여개 강의 이용, 강의 영상다운로드, 학습 알림' 등의 기능을 제공-성인·직장학습자의 시간 제약을 완화.
플랫폼 통합과 접근성 강화 : 웹U-KNOU(유노) 캠퍼스와 모바일 앱을 연동, 학습·형성 평가·공지·학사기능을 단일 계정으로 이용. 학교 공식 안내에서도 앱 설치·사양·가이드를 체계적으로 제공.
운영 인프라의 고도화 : HD 제작·디지털 위성·멀티플랫폼 운영으로 콘텐츠 품질과 안정성을 확보, 대규모 분산학습자의 품질관리가 용이해 짐.
구성 : 5-10분 동영상 +2문항 체크퀴즈+1분 요약 카드(모바일), 5~6개 모듈=1배지(예 : "감염 예방 기초", "지역 건강 캠페인 설계").
AI 튜터(beta)·모바일 VR 2개시나리오·조기경보(옵트인) 도입.
KPI 설정: 수강 완료율·중도 이탈율, 취약 개념 사전/사후 점수, 튜터문의량, 만족도.
다음 단계는 AI·VR·학습분석을 "최신 기술"이 아니라 학습과 형평성에 봉사하는 도구로 통합하는 일입니다.
학습효과의 증대 : 짧은 시연 영상+모바일 형성평가+VR 안전훈련+AI 튜터 질의응답 +학습분석 기반조기 지원처럼, 목표에 맞춘 복합매체 설계로 보건교육의 실습성과 전이를 강화해야 한다.
Means, B., Toyama, Y., Murphy, R., Bakia, M., &J ones, K.(2010). Evalu ationofevidence-basedpractices inonlinelearning.U.S.Departmentof Edu cation.
Rose, D.H., &Meyer, A.(2002). Teachingeverystudentinthedigitalage: UDL.ASCD.
Ifenthaler, D., &Yau, J.Y.-K.(2020). Utilis inglearninganalyticsforstudysuccess.Technology, KnowledgeandLearning, 25(3), 645-651.
Cook, D.A., Hatala, R., Brydges, R., etal.(2011). Technology-enhancedsim ulationforhealthprofess ionseducation: Am eta-analys is.JAMA, 306(9), 978-988.
Kyaw, B.M., Saxena, N., Posadzki, P., etal.(2019). Virtualreality forhealthprofess ionseducation: Asystem ati creviewandm eta-analys is.BMCMedicalEdu cation, 19, 141.
Kon onowicz, A.A., Hege, I., Edelbring, S., etal.(2015). Virtu alpatients-Whatarewetalkingabout ? BMCMedicalEdu cation, 15,11.
Motola, I., Devine, L.A., Chu ng, H.S., Sullivan, J.E., &Issenberg, S.B.(2013). Sim ulationinhealthcareeducation.Jou rnalof GraduateMedicalEdu cation, 5(3), 293-298.
Kulik, J.A., &Fletcher, J.D.(2016). Eff ectivenessofintelligenttutoringsystems.Reviewof Edu cationalResearch, 86(1), 42-78.
Harden, R.M., &Gleeson, F.A.(1979).Assessmentof clinicalcompetenceusingOSCE.MedicalEducation, 13(1), 41-54.
Custers, E.J.F.M.(2015).Long-term retentionofbasicscienceknowledge.Advances inHealth Sciences Edu cation, 20(5), 1095-1105.
학습, 매체, 교육, 보건, 모바일, 강의, ai, 설계, 피드백, 학습자, , 기반, 학교, a, 퀴즈, , 효과, vr, 실습, 접근성
보건교육방법론 2025년 2학기 방통대 중간과제물 4학년 2학기 보건교육방법론 2025방통대 중간과..
4학년 보건교육방법론 중간과제물 보건교육방법론 교육매체의 종류와 특징 10p
평생교육방법론- 평생학습축제에 대해 설명,그 .. 2025년 2학기 중간과제 영유아교수방법론
영유아교수방법론 2025년 2학기 방통대 중간과.. 원격수업의 필요성과 여러 형태
유아교육과 3학년 2025년 2학기 영유아교수방법.. 보건경제학 2025년 2학기 방통대 중간과제물
2025년 2학기 중간과제 보건프로그램개발및평가.. 교재와 강의 7장, 8장에 나오는 옹호와 반박의 ..
보건프로그램개발및평가 2025년 2학기 방통대 .. [실기교육방법론] 기억과 망각에 대해서
 
2025년 OCU 마음을 읽어주는 ..
경영전략론 2025년 2학기 방통..
텔레마케팅관리사 요점정리노..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시험..
[올해최신]음주운전탄원서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