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본보고서의 목적은 보건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ASSURE 모형의 개념과 단계별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를 통해 보건교육 매체 선정 및 활용의 실천적 의의를 탐색하는 것이다.
ASSURE 모형은 그러한 교육 매체 선정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보건교육을 보다
보건교육에서 ASSURE 모형의 의의
요약하자면, ASSURE 모형은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목표 설정에서부터 매체의 활용, 학습자 참여, 교육 효과의 평가까지 보건교육 전 과정을 아우르는 실천적 교수 설계체계이다.
ASSURE 모형은 교육 매체 선정과 활용의 전 과정을 여섯 단계로 구체화함으로써, 교수자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단계는 ASSURE 모형의 핵심이라 할 수 있으며, 교육 내용의 효과적 전달과 학습자의 참여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이 모형은 보건교육자가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며, 교육 매체를 과학적으로 선정·활용·평가할 수 있도록 체계적 기준을 제공한다.
보건교육 현장에서 ASSURE 모형을 적용한 사례와 매체 활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
|
|
 |
따라서 교육자는 대상자 분석과 교육목표에 근거한 체계적 매체 선정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교육 매체 선정 및 활용의 체계적 접근을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ASSURE 모형이다.
이 모형은 'AnalyzeLearners(학습자 분석)', 'StateO bjectives(목표 진술)', 'Se lectMethods, Media, andM aterials(방법·매체·자료 선정)', 'UtilizeMediaandM aterials(매체 활용)', 'Requi reLearnerP articipation(학습자 참여 유도)', 'Evalu ateandRevis e(평가 및 수정)'의 여섯 단계로 구성된다.
ASSURE 모형은 이러한 과정을 구조화하여, 보건교육자가 교육계획 단계 에서부터 실행 및 평가 단계까지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보고서의 목적은 보건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ASSURE 모형의 개념과 단계별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를 통해 보건교육 매체 선정 및 활용의 실천적 의의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ASSURE 모형의 이론적 배경과 단계별 구성요소를 살펴본 뒤, 각 단계가 보건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ASSURE 모형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효과적인 매체와 자료를 선정하고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 절차를 제시하는 교수 설계(inst ructionaldesign) 모형이다.
ASSURE는 여섯 단계의 약어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계가 교수자에게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매체 선정과 활용, 그리고 평가의 전체적 과정을 안내한다.
기존의 교육 매체 활용은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매체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방식에 머물렀지만, ASSURE 모형은 학습자의 참여와 행동변화를 중심에 두어 매체를 교수학습의 '보조도구'가 아닌 '상호작용의 매개체'로 재정의했다.
그 중 ASSURE 모형은 ADDIE 모형(Analys is, Design, Developm ent, Implementation, Evalu ation)의 일반적 절차를 간결화하고, 교수자의 실천적 활용성을 높인 현장 중심형 모형으로 개발되었다.
ASSURE 모형은 행동주의(behaviorism), 인지주의(cognitivism), 구성주의(const ructivism)의 교수학습 이론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통합형 모형이다.
따라서 ASSURE 모형은 특정 이론에 편향되지 않고, 다양한 학습 상황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천 중심의 교수 설계 프레임워크로 평가된다.
요약하자면, ASSURE 모형은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목표 설정에서부터 매체의 활용, 학습자 참여, 교육 효과의 평가까지 보건교육 전 과정을 아우르는 실천적 교수 설계체계이다.
따라서 보건교육자는 ASSURE 모형을 통해 학습자에게 더 효과적이고, 참여적이며, 지속가능한 건강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ASSURE 모형은 교육 매체 선정과 활용의 전 과정을 여섯 단계로 구체화함으로써, 교수자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다.
ASSURE 모형의 첫 단계는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분석하는 과정이다.
이처럼 학습자 분석 단계는 "누가 학습자인가?"를 명확히 파악하여, 이후의 목표 설정과 매체선택의 근거를 마련하는 핵심 단계라 할 수 있다.
학습자는 (학습자) 교육 후 10분 이내에 (조건) 올바른 손씻기 6단계를 (행동) 순서대로 정확히 시연할 수 있다(기준)."
세 번째 단계는 교육의 목표와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수 방법, 매체, 자료를 선정하는 과정이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선정된 매체와 자료를 실제 교육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나아가 AI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학습자의 참여 패턴과 건강행동 변화를 분석한다면, ASSURE 모형은 단순한 교육설계도구를 넘어 데이터 기반 보건교육 혁신 모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ASSURE 모형은 보건교육의 기본 원리인 "학습자 중심, 행동변화 중심, 지속적 개선 중심"의철학을 구체화한 실천적 교수 설계틀이다.
따라서 보건교육자는 이 모형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건강행동 중심의 교육실천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ASSURE 모형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원전으로, 매체 선정 및 교수 설계 절차에 대한 핵심적 근거를 제시함.
방송통신대학교 「보건교육방법론」교재로, 보건교육의 개념, 교수학습 이론, 교육 매체의 활용원리 등을 체계적으로 다룸.
김정희.(2019).「보건교육에서의 교수 설계 모형 적용과 매체 활용의 효과」.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36(1), 15-30.
유해미.(2020).「ASSURE 모형에 근거한 보건교육 매체 개발 및 활용 연구」.한국보건교육학회지, 37(2), 25-39.
ASSURE 모형의 단계별 절차를 기반으로 보건교육용 시청각 자료를 설계·평가한 국내 사례연구.
박은영, 조미숙.(2018).「학습자 분석 기반의 보건교육 프로그램 설계연구」.한국보건교육학회보, 35(3), 41-57.
조현정.(2020).「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보건교육의 효과 분석」.보건교육학 연구, 39(1), 61-80. |
 |
교육, 학습자, 매체, 모형, 보건, assure, 교수, 활용, 단계, 중심, 효과, 설계, 행동, 학습, 변화, 참여, 선정, 목표, 건강, 실천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