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원평가제도 
 서론
 -교원평가제가 나오게 된 배경
 -교원 평가제도
 -외국의 사례
 
 본론
 1. 제도상의 문제점
 a. 참여주체 -평가의 합리성과 공정성 확보 위배
 b. 평가방법 -평가방법의 비효율성
 c. 근무평정과 겹치는 평가항목의 문제점
 
 2. 교육적 통제에 따른 교육 환경 악화
 
 3. 교육 황폐화
 
 결론
 -대안 제시
 목차
 서론- 교원 평가제도의 도입배경
 서론- 교원평가제도
 교원평가제도
 
 - 2004년 교육부에서 새로운 형태의 평가제 도입
 
 - 2010년 전국 초, 중, 고등학교에서 실행
 
 - 순수한 전문성 개발평가를 목적
 
 - 관리자(교장, 교감)외에
 동료교사, 학생, 학부모까지 평가에 참여 = 다면평가제
 
 - 인사관리에 포함되지 않는다.
 
 서론- 외국의 교원평가제도
 
 실효성 없는 평가방안으로 잡무 가중
 
 평가의 활용방안에 대한 불신
 
 근무평정과의 중복, 모순
 (근무평정과 교원평가 동시 시행중)
 …
 반대!!
 서론
 
 서론
 -교원평가제가 나오게 된 배경
 -교원 평가제도
 -외국의 사례
 
 본론
 1.제도상의 문제점
 a. 참여주체의 측면 -평가의 합리성과 공정성 확보 위배
 b. 평가방법의 측면 -평가방법의 비효율성
 c. 근무평정과 겹치는 평가항목의 문제점
 
 2. 교육적 통제에 따른 교육 환경 악화
 
 3. 교육 황폐화
 
 결론
 -대안 제시
 본론1- 제도상의 문제점
 A. 참여주체의 합리성과 공정성 위배
 
 -교원평가제의 참여주체
 : 교장, 교감, 교사, 학생, 학부모 수업 참관자
 
 (2011.2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정구영 석사학위 논문 설문조사 자료)
 
 교원평가제의 참여주체 중
 학생, 학부모 수업 참관자
 
 -]평가에 대한 체계적 연수와 교육 받지 못함
 -]전문적 평가 X
 -]실질적 평가 X
 -]학부모의경우 수업참여부족
 
 -]
 (2011.2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정구영 석사학위 논문 설문조사 자료
 점수화 후 그래프 변환)
 평가의 공정성과
 합리성 확보 위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