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개선을 위한 수행평가 실행연구
리포트 > 교육학
수업개선을 위한 수행평가 실행연구
한글
2011.03.11
34페이지
1. 수업개선을 위한 수행평가 실행연구.hwp
2. 수업개선을 위한 수행평가 실행연구.pdf
수업개선을 위한 수행평가 실행연구
수업개선을 위한 수행평가 실행연구
- 질적 수행평가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수행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1. 프로그램 개발
2. 프로그램 실행
3. 프로그램 적용 내용 분석 결과
Ⅴ. 수행평가 사용에 따른 교수-학습의 변화
Ⅵ. 결론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오늘날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교사연수, 교수-학습 자료, 교실 환경, 교육평가 등 교육계 전반에 걸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많은 변화 중에서도 교육평가 차원에 있어서 수행평가로의 전환은 교사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시책 또한 ‘21세기를 선도하는 자율적, 창의적, 도덕적인 인간 교육’을 교육의 지표로 삼고서, 사고력․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평가방법의 개선을 내세우는데 수행평가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 마디로 앞으로의 교육평가 체제는 학생의 창의성이나 문제해결력 등 고등사고기능을 신장시키기 위해 수행평가 체제를 도입하여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부에서 배부한 수행평가 홍보자료(1998; 김천호, 1999; 111~112에서 재인용)에 의하면 수행평가(遂行評價 : Performance Assessment)란 “평가자가 학습자들의 학습과제 수행과정 및 결과를 직접 관찰하고, 그 관찰결과를 전문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식”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학습과제란 학습자들에게서 성취되기를 기대하는 교육목표와 관련된 것으로, 가능한 한 실제 생활에서 보다 의미 있고, 중요하고, 유용한 과제들을 의미한다. 수행이란 학생들이 단순히 답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답을 구성하는 것, 산출물이나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 태도나 가치관을 행동으로 드러내는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관찰이란 학습자가 수행하는 과정이나 그 결과를 평가자가 읽거나, 듣거나, 보거나, 느끼거나 하는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이용숙, 2000).
....
교육학
[교육평가 유형분류] 교육평가의 형태(평가기준.. [교육학]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교..
수업분석에 대해서 수업계획서 작성 요령
대학원수업평가설문지 수업평가설문지
교수매체 레포트 과정중심평가 내실화 방안
국교재-국어과수업의계획과평가,교수 학습 과정.. [인적자원개발론] 수행관리
수업개선의지풍토조성을위한설문지 교육공학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에서 직원의 평..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에듀테크 소프트랩 운영 자..
 
만4세 영유아관찰일지 1년치 (..
청소년 프로그램 계획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고 ..
만1세 2학기 부모상담일지 5명..
1학기 만2세 부모상담일지 부..
구연동화 원고 영유아 유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