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사례
리포트 > 법학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사례
한글
2011.03.10
1페이지
1.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사례.hwp
2.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사례.pdf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사례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사례

문: 갑은 을의 건물에 점포 하나를 임차하여 장사를 하고 있던 갑의 점포 내에서 전기합선으로 누전이 되어 건물 전부가 불에 타버렸다. 이 경우에 갑은 을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하는가

A생각: 멀쩡한 건물에서 불이 왜 나겠는가 이건 분명히 임차인이 뭔가 잘못을 해서 불이 났을 거야. 캐보면 분명 답이 나오겠지. 말을 안해서 미치겠지만.

B생각: 아니야. 불이 날 만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데 왜 그러니 자꾸 임차인은 잘못이 없어. 그 많은 돈을 다 물게 된다면... 말도 안돼. 누전이야 말 그대로. 장사하면서 누전이 될지 안될지 어떻게 알 수가 있다니. 이건 신의 장난이고 맑은 하늘의 날벼락이야. 재수가 없을라니까. 임차인만 불쌍하게 됐지 뭐.

답: 실화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실화로 인하여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는 중대한 과실이 있을 때에 한하여 손해배상 책임을 지게하고 있다. 이 경우 손해배상의 여부는 화재의 발생에 중과실이 있었느냐 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갑이 자기의 점포 내에서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발생이 쉽게 예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방치하였다면 중과실이 인정되며, 갑은 손해배상책임을 면할 수 없다.

. : 이러한 경우 임차자인 갑의 중대과실이 있었느냐 없었느냐 에 따라서 판결의 내용이 결정된다. 그렇다면 무엇이 중대 과실에 해당하느냐 해당하지 않느냐 하는 문제가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인데, 현실적으로 보았을 때 이러한 문제 또한 사적인 의견이 분분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체적인 의견으로는 건물 내에서 화재의 발생이 충분히 예견될 수 있는 상황임을 임차인 스스로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을 제거하지 않았을 때, 다시 말해 어느 정도라도 고의성이 개입되었을 시는 임차인의 중과실이 있다라고 말 할 수 있겠다. 그럴 시 재판에서 지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
분석
제조물 책임법과 화재 사건 분쟁조정 사례 법과 제도의 이해 -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
민법상 책임무능력자의 감독자의 책임에 대하여 실화
손해보험설계사시험 대비 핵심요약 기본 모의문.. 손해배상청구(교통사고)
자동차보험 - 자동차 보험의 고찰 및 개선 방향 CFR분쟁사례2
CFR분쟁사례 국제 거래법, 국제 매매 계약, 의무위반에 대한..
국제 거래법, 국제 매매 계약, 의무위반에 대한.. Product Liability,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
손해사정 직무 면접족보, 2025년 상반기 3급신.. 채무불이행에 대한 손해배상의 범위
 
과징금 제도의 활용과 관련 소..
행정상 손실보상의 개념과 근..
[행정] 행정상의 손해배상
[행정법] 행정상 손해배상
영업비밀 침해행위와 관련한 ..
[특허법] 통상실시권 설정의 ..
특허법상 통상실시권에 대한 ..
[행정법] 행정행위의 무효와 ..
국민연금법 파워포인트 PPT 프..
민법상 비영리 사단법인의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