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 교육학 요약 
 목 차
 
 제1장 한국교육사
 제2장 서양교육사
 제3장 교육철학
 제4장 교육의 기초
 제5장 교육심리학
 제6장 교육과정
 제7장 교수-학습지도
 제8장 교육공학
 제9장 교육사회학
 제10장 생활지도
 제11장 교육행정
 제12장 교육연구
 제13장 교육평가
 제14장 교육통계
 
 제1장 한국교육사
 
 구분
 시대
 국  립
 사  립
 고 등
 중 등
 고 등
 중 등
 초 등
 고구려
 태학
 
 경    당
 신라
 
 화 랑 도
 통일신라
 국학
 
 고려
 국자감
 5부학당 : 향교
 12공도
 
 서당
 조선
 성균관
 4부학당 : 향교
 
 서원
 서당
 근대
 육영공원
 한성중, 한성사범
 
 원산학사
 
 
 * 중등교육 - 관리양성 목적
 * 초등교육 - 기초지식획득(읽기, 쓰기, 산수)
 * 지방에만 있던 학교 - 경당, 서원, 항교
 * 唐의 국자감 모방 - 태학, 국학, 국자감(중앙의 고등 관학교)
 * 문무일치 기관교육 - 경당, 화랑도, 국자감(강예제)
 * 문묘가 있던 학교 - 성균관, 국자감, 향교
 * 관학 관할부서 :  중앙 - 예부, 예조(태학, 국학, 국자감, 성균관)
 지방 - 지방관찰사(향교)
 1. 삼국시대의 교육
 (1) 고구려
 1) 태학
 ① 특성 - 우리나라 최초 중국식 유학 교육기관(372년 - 소수림2년)
 ② 대상 - 귀족과 상류계급의 관리양성 위한 고등교육기관
 ③ 내용 - 한자, 한문, 五經(시경,서경,주역,예기,춘추) 三史(사기, 한서, 후한서)
 2) 경당
 ① 특성 - 원시시대 미성년자 집회장소에서 유래(∴대상이 전계층)
 - 한국최초의 사립교육기관(후에 서당으로 이어짐)
 ② 대상 - 지방부호의 자제(중․고등)와 평민(초등)의 자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