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생리학실습 - WBC Count |  
        |  |  
        |  |  
        |  |  
        | 생리학실습 - WBC Count 실험목표
 : 광학현미경과 Cover glass를 이용해 두가지 방법으로
 1mm3당 백혈구개수를 측정한다.
 
 준비물
 : 혈액, 광학현미경, 희석액(튤크액),
 혈액희석용 피펫(백혈구 피펫), 고무관,
 Cover glass, Chamber(혈구계산판),
 마이크로피펫
 White Blood Cell(WBC)란
 
 -면역기능에 관여하는 혈액의 유핵세포
 -수명 : 13~20일, 림프계(lymphatic system)에서 파괴되고 대변으로 배출
 -검사의학
 : 과립구(granulocyte) 무과립구(agranulocyte)
 : 과립구(다형핵백혈구)-호중구(neutrophil), 호산구(eosinophil), 호염구(basopil)
 : 무과립구(단핵구)-림프구(lyphocyte), 단구(monocyte)
 -임상적 의의
 : 백혈구의 양은 질병의 진단보다는 경중의 판단에 유용, 백혈구 감별(differential count)이 질병의 원인검사로 유용
 : 백혈구의 모든 세포들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혈액의 농축에 의한 경우가 많음
 -백혈구수(WBC count)
 : 혈액 내에 존재하는 WBC수로 측정
 : 자동혈구 분석기에서의 수치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수시확인
 -백혈구 감별계산(WBC differential count)
 : 정상적인 말초혈액내의 백혈구는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들의 혼합
 : 서로 다른 백혈구의 감별 계산을 얻고 이를 통하여 각각의 수치 파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