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 관해 |  
        |  |  
        |  |  
        |  |  
        | Ataxia (운동실조) 
 1. Ataxia (운동실조)
 
 - 동작을 하려고 할 때 운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목적하는 동작에
 협조성이 상실되는 것이다. (운동마비나 불수의 운동에 의한 것은 제외함)
 
 1) 협조운동장애
 ① 사지의 동작 때에 볼 수 있는 운동실조
 ② 협조운동장애를 조사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finger-nose test(손가락-
 코 시험: 집게손가락을 코에 갖다대는 test)가 있음.
 ③ 협조운동장애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증후
 - 측정이상(dysmetria): 목표를 지나치는 증후.
 - 운동의 분해(decomporation of movement): 손가락 끝의 궤적이 직선이 아니고 삼각형의 2변으로 나타나는 증후.
 - 운동시 진전, 동요: 목표를 향해 직선적으로 나가지 못하고 떨리든지
 동요해서 나가는 증후.
 - 공동 운동 장애(dyssynergia): 공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근육군의
 운동이 목적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증후.
 - 손의 회내와 회외의 반복동작이 잘 되지 않는 등이 있음.
 
 2) 평형운동장애
 ① 일어서려고 할 때 양쪽다리를 넓게 벌림.
 ② 상체가 앞 뒤 또는 좌우로 동요해서 걸을 때에도 양쪽 하지를 벌리고
 상체는 불안정함.
 ③ 눈을 감으면 더욱 심한 경우가 있음.
 ④ 장애가 심할 경우 - 물건을 잡지 않고는 일어서고 걷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거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있음.
 
 2. Ataxia (운동실조)의 종류
 
 1) 척수후삭(척수로) 운동실조
 - 시각의 영향이 큰 것이 특징이므로 눈을 뜨고 있을 때에 비해 감고
 있을 때 동작이 잘 안 됨. - 후삭장애에 의해 심부감각(특히 위치감각)이
 장애 되기 때문임. → finger-nose test(손가락-코시험), heel-knee test
 (발꿈치-무릎시험)에서 눈을 감고 그 동작이 원할하게 되지 않는다.
 ① Romberg test(양쪽 발을 모으고 똑바로 세우고 눈을 뜨거나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