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의약품 시장 현황과 문제점 발전방안
 2
 2. 소비 및 지출현황
 3. 유통현황
 4. 문제점
 5. 정책의 평가
 6. SWOT분석을 토대로 한 발전방안
 7. 제약산업 발전방안
 8. 제약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적 모형
 1. 생산현황
 3
 1. 생산현황(I)
 제약사 수
 한국은 생산업체 기준으로 2005년 현재 714개
 생산량 100억 이상은 123개 업체
 - 123개 업체의 생산량은 전체의 97% 수준
 판매량 100억 이상은 68개 업체
 68개 업체의 판매량은 전체 시장의 99%를 점유
 자료 : 의약품 성실 신고 회원조합 OECD Health Data, June 2006 IMS Health 2006
 선진국에 비해, 국내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높은 편임.
 국내산업의 기여도가 높은 편으로 판단됨.
 자료 : 선진국의 경우, OECD Health Data, June 2006(2002년 수치)
 한국의 경우, 2006 제약산업통계집, 제약협회
 4
 1. 생산현황(II)
 OTC의 생산비율 비율
 생산량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26%, 선진국은 13%.
 우리나라의 경우, 한약재가 OTC로 분류되어 이들이 OTC중 50% 이상을 차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OTC의 비율은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님
 우리나라의 경우, 품목수로는 OTC가 49%를 차지함.
 전문의약품 중 generic 비중
 생산량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69%, 선진국은 40%
 생산액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49%, 선진국은 9%
 Generic의 가격이 다소 높은 편임. 이는 판매 및 일반관리비가 너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됨(전체의 35% 수준)
 신약개발 현황
 연평균 개발 수: 한국 1개, 미국 11개, 유럽 17개, 일본 9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 한국(2005) 5.28%, 선진국(2002) 15.5%
 제약회사의 세전 영업이익비율
 한국 11.0%, 일본 19.4%, 미국 25.8%, 유럽국가 19.1%
 5
 2. 소비 및 지출현황(I)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