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협업과 소통 경험을 통해 배운 점
대학 시절 저는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하며 직접 클린룸에서 공정실험을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ALD 공정 중 두께 균일도를 확보하지 못해 반복 실험을 수행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특히나노구조 기반 바이오센서나 환경소자의 공정기술을 개발해, 인류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연구자가 되고 싶습니다.
|
|
|
 |
특히 반도체 소자의 스케일이나 노미터 단위로 진입함에 따라 패터닝, 식각, 증착기술의 정밀도 가 산업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사실은 나노 공정 분야에 대한 제진로 방향을 구체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실험뿐 아니라 시뮬레이션, 분석, 문서화까지 전주기에 걸쳐 능동적으로 참여한 경험이 저의 기술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저는 회로 설계나 반도체 공정에 익숙했고, 팀원은 생물학적 반응에 주로 집중했기 때문입니다.
나노종합기술원은 국내 유일의 나노종합팹으로서, 이론 중심의 교육을 넘어 실제 장비 운용과 산업실무에 초점을 맞춘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어 예전부터 꼭 참여하고 싶은 기관이었습니다.
특히 리소그래피, 식각, 증착, 측정분석 등 전 공정별 교육뿐 아니라, 장비의 작동원리까지 학습하고 실제로 장비를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큰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장비 기반 문제 해결 역량'입니다.
실험실 환경과 산업현장의 장비는 분명 차이가 있으며, 장비 간간섭, 이물 발생, 챔버 상태 등 실제 운용 상황에서 벌어지는 문제들을 경험하고 해결하는 훈련을 하고 싶습니다.
단순히 매뉴얼대로 장비를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정간의 연관성과 원리를 이해하고 개선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문제를 읽는 기술자'로 성장하는 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대학 시절에도 해당 공정을 직접 수행하며 선폭 조건 제어와 PR 최적화 등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었기에, 전문가의 노하우와 산업용 장비에서의 실제 조건을 비교 학습하고 싶습니다. |
 |
공정, 장비, 기술, 조건, 나노, 실험, 되어다, 산업, 싶다, 실제, 기반, 경험, 반도체, 증착, 분석, 운용, 두께, 조절, 종합, 상태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