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아동폐렴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은 아래 4개입니다.
<1> 폐포 내 염증과 분비물로 인한 가스교환장애
<2> 발열과 호흡 증가로 인한 체액 불균형 위험성
<3> 지속되는 발열으로인한 고체온
<4> 호흡곤란으로 인한 비효율적 호흡양상
책, 논문, 임상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접근을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
|
|
 |
<1> 폐포 내 염증과 분비물로 인한 가스교환장애
<2> 발열과 호흡 증가로 인한 체액 불균형 위험성
<3> 지속되는 발열으로인한 고체온
<4> 호흡곤란으로 인한 비효율적 호흡양상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7개
1) 진단적 계획
-> 이론적근거
2) 치료적 계획
-> 이론적근거
3) 교육적 계획
-> 이론적근거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숨이 차서 가만히 있어도 힘들어요.”
(2)“기침을 자주 하고 가래도 많이 나와요.”
(3)“숨을 쉬기가 점점 더 힘들어요.”
(4)“아직도 가슴이 답답하고 불편해요.”
(5)“가끔 기침을 하면서 숨을 못 쉬겠어요.”
(6)“발열이 계속되면서 몸이 많이 약해졌어요.”
중략
5. 간호수행
(1) (3/3) 호흡 상태와 산소포화도를 4시간마다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대상자는 현재 산소포화도가 89%로, 정상 범위(92% 이상)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호흡수가 26회로 다소 증가되어 호흡곤란 증상을 보였다. 환자는 기침과 가래 배출이 어려운 상태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가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는 호흡 운동을 권유하고, 4시간마다 산소포화도를 다시 측정하여 결과를 기록하였다. 그 후 1일(4/3) 산소포화도는 92%로 개선되었고, 호흡수도 22회로 정상화되었다. |
|
|
|
|
 |
김경희, 김은혜. 아동의 발열과 체액 불균형 관리에 관한 간호 중재. 아동간호학회지, 34(2), 85-92.
박미영, 조수현. 발열 환자의 체액 불균형 및 호흡 증가에 따른 간호 중재. 한국기초간호학회지, 26(3), 112-120.
정미숙, 유미영. 아동의 배변과 소화기 건강에 관한 간호 실천. 소아과간호학회지, 39(1), 73-80.
이정은, 김지은. 아동의 체온 및 수분 관리에 대한 간호중재. 간호학회지, 52(4), 156-163.
김미경, 박정숙. "폐렴 환자의 호흡기계 증상 완화를 위한 간호 중재". 한국간호학회지, 45(3), 2019, 234-241.
이정화, 김지연. "아동 폐렴의 치료적 접근과 간호 중재: 사례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26(2), 2018, 102-109.
정수연, 송혜경. "폐렴 환자의 호흡 증상과 관련된 간호 중재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9(4), 2020, 300-307.
박현숙, 김은희. "폐렴 환자에서 호흡 기능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와 그 효과". 한국호흡기간호학회지, 12(1), 2021, 55-62.
김영희, 이수진. 아동의 발열 관리에 대한 간호중재. 대한간호학회지.
박지영, 최정희. 발열을 동반한 아동의 해열제 투여 및 간호중재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김하나, 송미경. 아동 발열에 대한 체온 관리와 수분섭취의 중요성. 한국아동간호학회지.
이혜진, 김현주. 아동의 발열 간호 중재 및 부모 교육의 효과. 간호교육학회지.
김정희, 김미영, "아동 폐렴 환자에 대한 간호중재", 한국아동간호학회지, 10(2), 45-55.
박소영, 이현주, "호흡기 질환 아동의 호흡곤란 관리 및 간호", 한국호흡기간호학회지, 12(1), 33-41.
김유미, 정은지, "폐렴 아동의 호흡곤란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아동건강학회지, 18(3), 102-110.
이수민, 김은영, "아동 폐렴 환자의 호흡기 관리 및 간호 중재의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22(1), 78-85.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