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하여 플랙스(Flexner)가 주장한 전문직 속성에 대해 찾아보시고 오늘날 사회복지전문직의 속성은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학습자의 생각을 기술하시오.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혼란은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에 관한 개념적 차이와 학문적 일관성이 떨어지는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그린우드(Greenwood, 1957)는 전문직의 속성을 기본적인 지식과 체계적인 이론체계,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부여된 전문적 권위와 신뢰, 전문가집단의 힘과 특권, 사회로부터의 인가, 명시적이며 체계화된 윤리강령, 전문직의 문화 등으로 평가한다.
플렉스너는 개인적 책임성이 보장되는 지적 활동, 과학적 ․ 학문적 기반을 둔 이론, 실제적이며 명확한 목적, 교육적 전달방식, 자발적 조직, 이타주의적 동기 등 여섯 가지 특성을 사회사업 전문직의 분석틀로 사용하였다(Austin, 1983).
플렉스너와 그린우드가 규정한 전문직의 속성에 대해 일치된 견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전문화 과정은 이와 같은 전문직의 속성(traits)을 갖추는 노력을 통해 특권, 권위, 독점력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Wilding, 1982). 사회복지학계와 실천현장은 사회복지직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사회복지사가 전문직업인으로 위치하도록 많은 외부적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전문교육과정의 개발이나 훈련, 자격제도를 통해 전문직의 조건을 충족시켜 나가면서 사회로부터 기능적 전문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사회복지직의 전문화를 향한 노력과 사회적인가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학의 내적 정체성은 뚜렷하지 않다(Kane, 1982 : Weick, 1983).
다른 분야로부터 가져온 지식들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적합한 실천지식과 기술로서 활용되며 사회복지 학문체계의 일부로서 의미를 갖는가에 대한 의문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복지실천의 학문적 특성 가운데 하나는 기능주의적인 또는 개인주의 지향의 심리사회적 접근방법으로부터 갈등주의적인 또는 집합주의 지향의 사회개혁적 접근방법까지 학문적 시각의 폭이 넓은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역사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의 흐름이 개인의 적응과 사회변화라는 상이한 개입목표를 통합시키지 못하고 각기 필요한 사회과학 이론들을 선택하며 발전되어 온 배경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의 본질적 기능과의 역동적 관계를 정립하지 못한 실천분야들은 분야별 전문가로서의 역할과 정체성을 가지고 각자의 발전방향을 추구해 왔다.
실천분야들 간의 이질적인 특성들을 수용하면서 독자적인 전문화과정을 겪은 다양한 실천영역의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전문가로서 공유하는 정체성의 실체는 모호하다. 예를 들어, 개인의 심리적 문제를 해소 또는 완화시키는 데 관심을 가
...(이하 내용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