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 |  
        |  |  
        |  |  
        |  |  
        | 국어학개론 [목차]
 1. 서론
 2. 음성학
 3. 음운학
 4. 형태론
 5. 통어론
 6. 방언학
 7. 의미론
 8. 계통론
 9. 한국어사
 10. 어휘론
 11. 문자론
 12. 결론
 
 1. 서론
 - 한국어교사가 되려하는 사람들에게는 한국어학이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개별언어학인 한국어학과 일반언어학의 관계는 완전히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이라서 둘 다 중요하긴 하지만 나와 한국어교사가 되려는 사람들이 가르치려는 한국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나온 것이 한국어학이 아닐까한다. 이런 한국어학의 분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하나 알아보기로 하자.
 
 2. 음성학
 (1) 음성학이란
 -뜻을 전달하기 위해서 음성기관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를 ‘말소리’라 하고 ‘말소리’를 대상으로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를 음성학이라 한다.
 -조직이나 다른 말소리와의 관계는 중요하지 않고 오직 하나하나의 소리의 특질만 연구.
 
 (2) 음성학의 분류
 1)영역에 따른 분류
 -조음음성학 : 음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조음기관이 음을 조음할 때 어떤 자리에서 어떤 방법으로 조음하는지를 연구. 발동부에서 발음부까지의 생리현상을 연구한다. ‘생리음성학’이라고 부르기도 함.
 -음향음성학 :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 자체(음파)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
 -청취음성학 : 청자가 귀로 소리를 듣고 그것을 음성으로 파악하는 과정을 연구.
 
 2)대상에 따른 분류
 -개별음성학 : 한국 음성학, 영어 음성학과 같이 특정 언어의 음성을 연구하는 것.
 -일반음성학 : 모든 언어의 음성을 연구하게 되는 학문 분야.
 
 (3) 소리가 나는 원리
 1) 음성기관
 -발동부 : 발동부란 정지되어 있는 공기를 움직이게 하는 기관으로 폐가 주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후두, 후부구강이 발동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다.
 -발성부 : 폐에서 나온 공기를 소리로 바꾸어(만들어)주는 곳으로 성대를 일컫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