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조별 모임을 통해 여러차례 수정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거쳤구요. 교수님도 칭찬해주신 레포트입니다. |  
        |  |  
        |  |  
        |  |  
        | <목차> 1. 보육사업의 개념
 2. 보육사업의 역사
 3. 보육사업의 기본요소
 4. 보육 사업의 이념 및 목표
 5. 보육사업의 종류 및 기능
 6. 보육시설 종사자의 역할
 7. 외국의 보육제도
 8. 현황 및 문제점
 |  
        |  |  
        |  |  
        |  |  
        | 1. 보육사업의 개념 과거: 탁아사업(보호)
 -Kdushin &Matin : 가정의 아동양육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
 현재: 보육사업(보호와 교육)
 -영유아 보육법(제1조):영유아에 대한 심신의 보호와 건전한 교육을 통하여 이들 을 건강한 사회 성원으로 육성함
 -1991년 1월 영유아 보육법을 제정·공포(보건복지부)-보육사업의 단일법령/보호자,선별적->모든 아동에게 균등하게 보육서비스 제공/저소득층 아동 국가부담.능력있는 사람은 본인이 부담
 
 2. 보육사업의 역사
 1.어린이집 이전 시기(1921~1961)-구호적 차원 보육사업
 -1921년 태화 기독교사회관에서 탁아 프로그램 개발함으로 시작
 -광복이후 시설에 대한 합리적 지도 감독할 행정적 필요
 =>광복이후 6·25전쟁을 전후에 정치적·사회적 혼란기로 뚜렷한 방침 안됨->전쟁고아나 기아, 미아 등 요보호 아동에 대해 외국의 원조에 의해 설치 이외에 생기긴 했으나 다른 육아시설과 별차이가 없어 제기능을 다하지못함
 2. 어린이집 시기(1961~1982)
 -1961년 아동복지법 제정->탁아시설의 설치기준 정원, 탁아시간,보호내용 설정
 -1968.3.14 아동복리법 시행(미인가 탁아시설 임시조치령)->탁아소-어린이집로
 (점차 구빈 사업적 성격에서 아동의 복리를 증진시키고 보호로 성격변화
 수적 팽창 하지만 질적 수준 미흡)
 |  
        |  |  
        |  |  
        |  |  
        |  |  
        |  |  
        | -아동청소년 복지론, 2002, 나남출판사, 표갑수 -아동복지와 보육사업의 이해, 2000, 보육사, 박정문
 -변화하는 복지국가, 1999, 인간과 복지 출판사
 -참여정부영유아보육정책,2003, 삼성복지재단
 -호주 국립보육인증 위원회(www.naca.gov.au)자료 중 일부
 -http://blog.naver.com/bnmkjk.do?Redirect=Log&logno=60004692402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