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특목고,중등교육 |  
        |  |  
        |  |  
        |  |  
        | 특목고*자사고 : 계층의 세습 -중등교육기관(고등학교)과 계층-
 LIST
 중등교육과 중등교육기관의 정의
 중등교육기관(고등학교)의 종류
 중등교육기관(고등학교) 현황
 중등교육기관의 다양화에 따른 문제점
 중등교육기관의 다양화에 따른 장점
 결론
 참고문헌
 1. 중등교육과 중등교육기관의 정의
 
 ● 중등교육
 - 12, 13세부터 18, 19세까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초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중간단계를 이루는 교육.
 제2단계 교육
 한국의 경우 중학교와 고등학교 단계의 교육이 이에 해당.
 
 ●중등교육기관
 -중등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
 -중학교, 고등학교가 이에 해당
 1. 중등교육과 중등교육기관의 정의
 
 ● 중학교
 초등학교 과정을 수료한 학생에게 3년의 중등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 고등학교
 중학교를 졸업하거나 이와 동등한 학력을 가진 자가 진학하는 중등학교.
 
 중등교육기관(고등학교)의 종류
 ● 종류
 -설립 유형에 따라 분류
 국립 (공립)
 사립
 중등교육기관(고등학교)의 종류
 ● 종류
 -교육 과정에 따라 분류
 일반계 고교
 실업계 고교
 특수목적 고등학교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종합고등학교
 고교평준화
 중등교육기관(고등학교)의 종류
 ○ 특수 목적 고등학교 (특목고)
 - 특수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
 - 목표 :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조기양성
 - 과학계열, 외국어계열, 예체능 계열, 국제고 등 (한국영재학교)
 - 현재는 외국어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아짐
 
 ○도내 특목고
 -전북외국어고등학교, 전북과학고등학교,전주예술고등학교, 원광정보예술고등학교, 전북체육고등학교 등
 특수목적 고등학교
 중등교육기관(고등학교)의 종류
 ○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자사고)
 - 학교 운영의 자율성이 보장되는 탈규제학교.
 - 목적 : 각급 학교현장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
 학생들의 학교선택권 확대, 학생들의 학력신장
 등록금이 일반고의 3배 정도
 
 ○도내 자사고
 -상산고등학교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중등교육기관(고등학교) 현황
 ○국내 고등학교 유형별 고교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