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국제협상의이해,국제사회 |  
        |  |  
        |  |  
        |  |  
        | 북 ․ 미 협상 사례를 통한 북한 협상전략 연구 
 1. 핵 문제의 발생 원인과 특징
 - 핵 문제의 발생 배경
 : 1956년 소련과 ‘조소 원자력 평화 이용에 관한 협정’을 체결 → 1974년 국제 원자력 기구(IAEA) 가입 → 1985년 핵 확산 금지(NPT) 가입
 이러한 역사적 진행 후에 북한이 핵 안전 조치 협정 체결 지연, 핵 관련 보고서 허위 작성, IAEA 사찰 거부, NPT 탈퇴선언을 하게 되면서 핵 문제가 대두됨.
 - 핵 문제의 성격
 : 비핵 국가들의 핵 무장을 자극 하는 사례, 동북아시아 지역의 질서는 물론 핵 보유국에도 영향
 
 ※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추진하는 이유
 : 미국의 핵무기 전술 무산 수단 확보, 남한과 군사력 균형 유지, 국제사회에서의 고립 만회, 정치군사적 안정
 
 2. 북미 협상 진행과정
 1) 준비기
 ① IAEA 와의 관계 : 실제로 IAEA를 비롯한 국제사회와의 협상은 무관심
 ② 남북 핵 협상
 
 연도
 회담
 내용
 91. 8
 제 4차 남북 고위급 회담
 핵 문제에 대한 북측의 입장 최초 고시
 91. 12
 제 5차 남북 고위급 회담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제안
 92. 2
 제 6차 남북 고위급 회담
 새로운 전제조건 제시(북한)
 92. 5
 제 7차 남북 고위급 회담
 주한 미군 시설에 대한 사찰 문제 제기
 
 : 한미간의 외교적 노력 → 92. 5 최초 보고서 제출 → IAEA 임시사찰 실시 → 북한의 비협조 → IAEA 추가 정보 특별사찰 요구 → 한미 팀스피리트 훈련재개 → 93. 3 북한의 NPT 탈퇴
 2) 진행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