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상처간호와 감염관리에 대해서(완본) |  
        |  |  
        |  |  
        |  |  
        | 목차 1.상처의 분류
 (1)손상의 원인에 따른 분류
 ①수술에 의한 상처
 ②타박상(contusion bruise)
 ③찰과상(abrasion)
 ④열상(laceration)
 ⑤자상(stab wound)
 (2)조직손상정도에 따른 분류
 ①피부 부분층의 손상(Partial-thickness lesions)
 ②피부 전층의 손상(Full-thickness lesions)
 (3)급만성에 따른 분류
 ①급성상처
 ②만성상처
 (4)치유에 따른 분류
 ①1차 유합(Primary intention)
 ②지연된 1차 유합(Delayed primary intention)
 ③2차유합(Secondary intention)
 ④3차유합(Teritary intention)
 5)상처깊이에 따른 분류
 ①1단계
 ②2단계
 ③3단계
 ④4단계
 (6)원인적요소에 따른 분류
 ①압력
 ②응전력
 ③마찰
 ④습기나 화학반응
 ⑤허혈
 2.상처치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1)연령
 (2)산소불포화도와 관류
 (3)흡연
 (4)영양불량
 (5)감염
 (6)과도압력
 (7)정신, 신체적 스트레스
 (8)스테로이드 치료
 (9)당뇨병
 (10)황달과 요독증
 11)악성종야과 방사선치료
 3.상처관리
 (1)상처관리의 원칙
 ①관리순서
 ②국소상처의 관리
 ③감염된 상처의 관리
 ④치료반응 관찰
 4.상처의 감염관리
 (1)상처의 감염
 ①정의
 ②진단기준
 ③감염의 원인
 ④원인균
 (2)감염관리
 ①수술 전 관리방법
 ②수술 후 창상관리
 
 상처간호와 감염관리에 대해서
 1.상처의 분류
 (1)손상의 원인에 따른 분류
 ①수술에 의한 상처
 ‣청결창상(Clean wounds)
 -감염증이 전혀 없는 부위의 수술이며, 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생식기를 포함하지 않는 수술창상으로서 계획되어진 수술이며, 외상이 없고 드레인이 있는 경우 폐쇄 드레인이어야 한다.
 ‣청결-오염된 창상(Clean-contaminated wound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