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조선시대의교육 |  
        |  |  
        |  |  
        |  |  
        | 조선시대의 교육 제1장 시대적 배경
 P 47~48
 조선의 사회적 성격
 
 첫째. 정치적 측면에서 강력한 중앙집권적 관료사회였다.
 
 둘째. 경제적으로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였다.
 
 셋째. 사회적으로 신분사회였다.
 
 넷째. 사상·문화적 측면에서 조선은 유교 중심적 사회였다.
 조선시대의 교육 발달은
 p49
 제1기-교육체제의 정립기.
 
 제2기-교육의 발전기
 
 제3기-실학사상기
 
 제4기-근대교육형성기
 제2장 교육제도
 
 p50
 조선시대에는 통치이념의 근간인 유학이 고도로 발달하고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및 관료제도가 공고히 확립.
 → 통치이념의 연구와 보급 그리고 관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학교가 발달하게 됨
 
 [1]관 학 (官學)
 -성 균 관
 P50~51
 *명칭 - 성균관은 국학·태학·국자감·반궁·현관
 등 으로 불려지기도함.
 *설립 및 시설  태조가 즉위7년(1398)에 수도 동북쪽 숭교방에 처음 설립→ 정종 2년 화재로 소실되고 태종7년(1407)다시 지음 →성종원년(1457)에 건의에 따라 존경각과 향관청을 증설 →선조 25년(1592)임진왜란때 다시소실 →선조 34년 (1601)에 대성전,39년 (1606)에 명륜당을 재건
 
 p52
 *입학자격 및 정원, 수업연한
 입학자격은 생원과 진사를 원칙으로 함
 정원이 부족할 경우 사학 학생, 공신의 적자손,
 문과나 생진과의 향시·한성시에 합격한자 또는
 현직관리
 *교육과정
 대학재· 논어재 · 맹자재 · 중용재 · 예기재 ·시재 ·서재 · 춘추재 · 역재 를 순차적으로 학습
 p52
 *교육방법
 -매일 강을 받고 어려운 점을 논하고 의문을 해결하여 학습이 된 것을 확인한 뒤에 새로운 것 을 가르침
 -반복해서 복습하고 자세히 연구하게 하여 유생 각자의 자질대로 충분히 이해시키고자 함
 -주입식이 아닌 문답식 교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