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생활문화’의 주제와 관련 있는 곳을 찾아 직접 답사한 뒤, 자신이 그 곳의 안내자가 되어 안내하는 과정 및 내용을 정리할 것.
리포트 > 생활/환경
‘전통생활문화’의 주제와 관련 있는 곳을 찾아 직접 답사..
한글
2014.04.15
6페이지
1. 전통사회와생활문화.hwp
2. 전통사회와생활문화.pdf
저희 집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향교를 소재를 했는데 그래도 좀 어려웠어요 아이 업고 가랑비가 오는날 사진을찍었는데 그 보람이 있었는지 만점 받았어요~ 노력한 만큼 점수는 꼭 따라 주는거 같아요 화이팅~~
Ⅰ. 들어가면서

Ⅱ. 본론
1. 울산 향교를 선택한 이유
2. 안내하는 과정 및 내용
3. 전통생활문화의 새로운 의미
4. 앞으로 우리의 향교 활용도
5. 현재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


Ⅲ. 결론

◈. 참고문헌
Ⅰ. 들어가면서:
오늘날의 향교는 임진왜란 이후 1894년 과거제도 폐지와 함께 전국의 향교는 교육의 기능을 상실하고, 제사기능만 유지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울산향교는 현재 매월 초하루와 보름의 분향례와 춘·추 석전대제를 봉행하고 있고 그 외에도 각종 충효교실과 예절교실, 서당 등을 운영하며 과거 향교의 역할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향교의 위치는 울산 중구 교동에 있다. 거리는 울산공항에서 오게 되면 30분정도 소요 하게 되고 울산역에서 출발 시엔 20분이 소요된다. 내부 입장료는 없으며 주차시설은 향교에는 없고 유림회관에 주차장이 있으니 거기에 주차를 하면 된다. 마침 내가 살고 있는 곳도 교동이라 5분정도면 향교에 갈 수 있는 거리에 있어서 참 다행이다. 내가 살고 있는 지척에 전통생활 문화가 있다는 것이 참 뿌듯하기도 하다. 이하생략
1)향교소개
안녕하세요 울산 향교를 안내하게 된 조 윤 영입니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던 것을 하나하나 조목조목 설명을 듣다보면 우리의 전통문를 이해하는 폭이 넓어 지는것 같아 뿌듯해 지는 하루가 될 것 같네요 자, 그럼 향교 소개 해볼까요
향교는 조선시대의 공식적인 교육기관으로서 울산 중구 교동에 있고 울산 유형문화재 제7호입니다. 향교는 지방 교육기관으로서 양반뿐 아니라 천민을 제외한 일반 평민들도 입학이 가능했다고 하는데 일단 버스에서 내려 바로 돌계단을 오르면 향교입구인 ‘청원루’가 보입니다. ‘청원루’라는 이름은 청나라를 멀리 한다는 유교적 의미를 가지고 지은 이름으로 그 안으로 들어서면 바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강의실인 명륜당(明倫堂)과 기숙사인 동·서재(東·西齋)가 있습니다. 명륜당은 학생들이 모여 공부를 하고 강연을 하던 곳이고, 명륜당 뒤 쪽으로 돌아가다 보면 공자를 중심으로 중국의 사성(四聖)·이현(二賢)과 우리나라 십팔현(十八賢)을 모신 대성전(大成殿)과 동·서무(東·西廡)가 있읍니다. 대성전은 공자 등의 성현의 위패를 모시거나 초상을모시고 제사를 주관 하는 곳이고, 명륜당과 대성전으로 가기 전에 전교실이 있습니다.

울산향교의 창건 연대나 초기 연혁은 임진왜란에 의한 기록의 멸실로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한 고을 한 향교 체제가 완성된 15세기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 됩니다. 창건 당시에는 신학성 북쪽인 현 반구동 구교(舊校)마을에 세워졌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후 그곳에 다시 세워졌다가 1652년(효종3년)에 지금 장소로 옮겨졌다 합니다. 이하생략
전통생활문화
◈. 참고문헌
▶ 울산향교 홈페이지 http://www.ushg.co.kr/
▶ 한국지역진흥재단.지역정보포털 http://www.oneclick.or.kr/
▶ 울산종합일보 http://ujnews.co.kr/ 기획특집면. 김윤경기자 / 이수열기자(사진)
나의문화유산답사기 교재에서 다룬 전통사회의 경제생활, 의식주생..
[학습 지도안] 5)실과-정리정돈 해보기(약안) [축제 레포트] 제 38회 여수 거북선 축제 - 임..
직지사기행문 [교육사] 해인에 이르는 길-(선(禪)과 21C교육)
문화유적 답사 교재에서 다룬 전통사회의 경제생활, 의식주생..
교재에서 다룬 전통사회의 경제생활, 의식주생.. [학습 지도안] 4)미술-12.우리미술문화-전통미..
펜션사업,펜션마케팅,펜션성공사례,마케팅,브랜.. 전통문화의 계승방향과 발전방안
사랑의 교회 교사의 사명과 역량 최종본 암사동유적답사기
 
저출산 고령화 문제
저출산율의 원인과 해결방안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사업..
[한부모가족지원제도] 한부모..
[노인] 노인의 개념(정의)과 ..
우리나라 식생활의 개선점)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