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 신호교차로 운영
 
 1. 교차로의 교통통제
 1-1 교통통제의 목적
 1-2 교차로 통제의 종류
 
 2. 신호현시의 명칭 및 등화표시 방법
 ⑴ 직진신호
 ⑵ 선행 또는 후행 양방좌회전
 ⑶ 선행 또는 후행 좌회전
 ⑷ 동시신호
 ⑸ 중첩 선행좌회전
 ⑹ 직진중첩 동시신호
 ⑺ 좌회전중첩 동시신호
 
 3. 독립교차로 신호기
 3-1 신호제어의 종류
 3-2 정주기신호기와 교통감응신호기 비교
 
 4. 독립교차로의 신호시간 계산
 4-1 교통수요의 추정
 4-2 포화교통량 추정
 4-3 황색시간 결정
 4-4 소요현시율 계산 및 차로군 분류
 4-5 현시의 결정
 4-6 주기의 결정
 4-7 최소녹색시간 계산
 4-8 주기의 분할
 
 5. 교통감응신호기
 5-1 반감응신호기
 5-2 완전감응신호기
 5-3 교통량 - 밀도 신호기
 5-4 검지기
 
 6. 교통섬
 6-1 교통섬의 종류 및 기능
 6-2 교통섬의 설계
 
 7. 보행자통제 및 버스정거장
 7-1 보행자 안전대책
 7-2 버스 정거장의 위치
 7-3 법령, 단속 및 교육
 ◎ 신호교차로 운영
 
 1. 교차로의 교통통제
 
 1-1 교통통제의 목적
 ① 교차로용량 증대 및 서비스 수준 향상
 ② 사고감소 및 예방
 ③ 주도로에 통행우선권 부여
 
 1-2 교차로 통제의 종류
 ① 기본 통행우선권 수칙
 ② ‘양보’ 표지
 ③ 2방향 ‘정지’ 표지
 ④ 여러 방향 ‘정지’ 표지
 ⑤ 교통신호
 
 2. 신호현시의 명칭 및 등화표시 방법
 
 ⑴ 직진신호
 좌회전 금지 또는 비보호 좌회전을 허용할 때 사용하며, 직진신호만 있다.
 
 ⑵ 선행 또는 후행 양방좌회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양방향의 좌회전이 동시에 시작되고 끝난 후(전용좌회전) 양방향 직진이 동시에 이루어 지는 방식
 
 ⑶ 선행 또는 후행 좌회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