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多變量解析의 主成分分析에 |  
        |  |  
        |  |  
        |  |  
        | 
 1996學年度 學士學位 論文
 
 多變量解析의 主成分分析에
 
 관하여
 
 指導敎授 김 혜 중
 
 東國大學校 理科大學 統計學科
 
 尹 勝 裕
 
 目 次
 
 Ⅰ. 序 論 1
 
 Ⅱ. 主成分 分析의 理論 2
 1. 主成分 分析의 槪念 2
 2. 主成分의 救助 3
 3. 의 導出 3
 4. 資料로부터의 主成分 5
 
 Ⅲ. 主成分 分析의 例題 6
 1. 資料 說明 6
 2. PROGRAM 7
 3. OUTPUT(결과물) 8
 4. 프로그램 解析 12
 5. OUTPUT 分析 14
 
 Ⅳ. 結 論 19
 
 參 考 文 獻 20
 
 Ⅰ. 序 論
 
 오늘날 統計에 관한 硏究는 여러곳에서 많이 이루어 졌다. 初期의 理論을 바탕으로 더더욱 發展된 方向으로 統計가 나아가고 있는 것이 事實이다.
 
 統計를 理論으로 하는 應用 分野는 多樣하다. 株式市場의 포인트 豫測(時系列 豫測), 또한 각 會社의 각 賣出額에 관한 여러 分析에도 時系列分野 및 지금 제가 分析하고자 하는 多變量에 관한 分野로써 많이 利用하고 있다. 각 會社뿐만아니라. 國家 公社에서도 모든 프로젝트를 修行하는데 多變量解析이 많이 使用된다고 할수 있다. 나라의 GNP 計算이나 모든 部門에서 각 原因에 따른 結果의 統計량으로 未來를 豫測한다든지 무궁무진하게 統計學의 應用部分은 使用하게 될 것이다.
 
 제가 지금 分析하려는 分野는 위에서 말했듯이 統計學의 應用分野중 變數가 많은 多變量에 관하여 하려고 합니다. 多變量도 지금 제가 할 主成分 分析, 群集分析, 因子分析, 집락 分析 MDS 分析 및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 각각의 分析方法은 分析할 데이터의 特性과 分析 特徵 등을 考慮하여 使用하여야 한다. 多變量중 主成分分析에대해서 理論 및 例題를 들어 分析을 해보겠습니다.
 
 Ⅱ. 주성분 분석의 이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