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역사학의이해 |  
        |  |  
        |  |  
        |  |  
        | 과학혁명과 계몽사상 
 [ 목차 ]
 
 < 과학혁명 >
 
 1. 서론
 
 2. 본론
 2.1. 과학혁명의 배경과 전개
 2.2. 주요 학문 영역에서의 과학 혁명
 1) 천문학
 2) 역학
 3) 방법론
 4) 그 외의 분야
 2.3. 과학혁명의 의의
 1)과학사적 의의
 2)인류사적 의의
 2.4.과학혁명의 문제점
 
 3. 결론
 
 < 계몽사상 >
 
 1. 계몽사상
 2. 계몽사상의 일반적 정의
 3. 계몽사상의 전제들 (과학혁명과 로크의 영향)
 4. 계몽사상가들
 5. 계몽사상가들의 영향
 6. 계몽사상의 쇠퇴와 의문점
 * 서유럽과 독일 계몽주의의 차이점 *
 
 [과학혁명]
 
 1. 서론
 
 과학의 한 분야 혹은 여러 분야에서의 급격한 변혁을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역사 상 과학혁명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한 크고 작은 많은 과학상의 변혁을 볼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코페르니쿠스(Copernicus, 1473-1543)의 지동설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우주구조,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의 진화론, 라부아지에(Antoine Laurent Lavoisier, 1743-1794)의 새로운 화학체계,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의 상대성 이론 등이 모두 크고 작은 과학혁명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