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한국의 교육과정 변천과정 |  
        |  |  
        |  |  
        |  |  
        | <한국의 교육과정 변화과정> 
 ① 8·15광복 후 미군정청 학무국에서 교수요목을 제정하여 교과서를 편찬하여 쓰던 교수 요목시대 (1946~1954년)
 ▷ 교과중심 교육과정 +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혼재, 언어수행 ․ 가치관 중시
 ② 1955년의 1차 교육과정(1954~1963) 개정 또는 교과과정시대
 배경 - 정치․사회적 측면에서 6.25 사변과 휴전으로 국가 전체가 사회복구에 역점
 - 교육과정의 이론적 측면에서 진보주의와 신교육의 영향을 받음
 - 기존 교육과정의 불합리성 측면에서 6.25를 전후하여 나타난 교육내용 중 난이도가 높은 것을 제거하도록 노력.
 ▷ 교과중심 교육과정
 - 교육과정의 체제를 ‘목표-학년목표-지도내용-지도상의 유의점’으로 체계화
 ③ 5·16군사정변 후 민족주체성과 경제발전이 강조된 1963년의 2차 교육과정(1963~1973) 개정.
 ▷ 자주성의 강조, 생산성의 강조, 유용성의 강조
 ▷ 경험중심 교육과정 - 한문, 교련 신설
 ④ 학문중심의 교육과정에 따라 산업화사회에서의 국민의 자질함양과 인간교육을 강조한 1973년의 3차 교육과정(1973~1981) 개정
 ▷ 국민적 자질의 함양 - 민족 주체 의식의 고양, 전통을 바탕으로 한 민족 문화의 창조
 개인의 발전과 국가의 융성과의 조화
 ▷ 인간 교육의 강화 - 가치관 교육의 강화, 비인간화 경향 극복, 근면성, 협동성 높임
 ▷ 지식․기술 교육의 쇄신 - 기본 능력 배양, 기본 개념 파악, 판단력과 창의력의 함양,
 산학 협동 교육의 강화
 ▷ 학문중심 교육과정 - 도덕, 국사, 일본어 신설
 ⑤ 경제 제일주의로부터 복지사회와 정의사회의 실현이라는 방향에서
 제5공화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우 | 나쁘지않음 | 2013-05-18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