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변천.,,
|
|
|
 |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변천
우리나라 미술 교육의 변천은 교육 과정의 변천과 더불어 많은 변화를 거쳐왔는데, 1차부터 6차까지 교육 과정의 변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박소영 외. 1997)
가. 제 1차 교육 과정(1954∼1963)
1949년에 제정된 교육법을 바탕으로 1954년 ‘교육과정’이 제정 공포되었다. 이 교육 과정은 미국에서 도입된 생활 중심 교육 이념을 중심으로 창조주의 미술 교육을 실현시키는 데 바탕을 두고, 일상 생활과 산업에 필요한 조형 감각과 기술을 이해하고 초보적인 기능을 기름으로써 한 개인이 평화적이며 문화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자질을 기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나. 제 2차 교육 과정(1963∼1973)
학생들의 생활과 경험을 중심으로 한 경험주의 교육에 바탕을 두고, 일상 생활과 관련된 미적 경험을 표현하고 감상하며 이를 생활과 관련시켜 조형적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데 미술과의 기본 목표를 두었다. 제 2차 교육 과정에서는 자기 감정을 아름답게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서 풍요로운 인간상을 지닌 자주적, 민주 시민 양성을 교육의 이념으로 도입하였다.
다. 제 3차 교육 과정(1973∼1981)
학문 중심 교육 과정이라는 새 교육 사조의 도입으로 미술과에서는 심상 표현과 적응 표현을 강조하였다. 특히 디자인, 공예 교육을 중시하였고 미적 정서, 창의적 표현과 함께 기초적 기법 및 용구 사용 능력을 기르며, 우리나라 미술품 및 문화재를 감상하고 보존, 애호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라. 제 4차 교육 과정(1981∼1987)
전인적인 인간을 기르고자 하는‘인간 중심 교육 과정’이 강조되었다. 미술과에서는 미적 경험을 통한 국민 정신 교육의 강조와 미술과의 표현을 통한 창의성 발달에 주안점을 두고 자율성, 상상력, 탐구적 태도를 강조하는 등 심미적 태도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제4차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량 과다, 학습하기 어려운 교육 내용, 교과목 위주의 분과 교육,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