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물리실험] Bragg 반사 - 단결정의 X-선 회절 |  
        |  |  
        |  |  
        |  |  
        | Bragg 반사 - 단결정의 X-선 회절 목차
 실험 목표
 실험 이론
 실험 준비물
 실험 방법
 실험 결과
 실험 목표
 Molybdenum의 X-선을 이용하여 NaCl 단결정의 Bragg 반사를 조사한다.
 
 Molybdenum의 특성 X-선인 K와 K의 파장을 결정한다.
 
 Bragg 법칙을 확인한다.
 
 - X선의 특징을 확인한다.
 실험 이론
 X선의 발생
 X선(X-Rays)은 진공중에서 고전압에 의하여 가속된 초고속의 전자(Electron)를 만들어 음극(Target)에 충돌 시키면 발생한다.
 이때 전자의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은 열로 변환되며, X선(X-Rays)의 에너지로 변환되는 비율은 다음식과 같이 일반적으로 0.1% 정도로 아주 작다.
 Target 에서 발생된 열은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 시켜야 한다.
 e = 1.1 x 10-9 Z V
 e : X선(X-Rays) 발생효율Z : Target 원소의 원자번호V : 전자(Electron)의 가속전압 (V)
 X선 회절
 물질에 X선이 입사했을 때, 입사 X선의 방향과는 다른 몇 개의 특정한 방향으로 강한 X선이 진행하는 현상을 말한다
 1912년 막스 폰 라우에가 이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 현상을 이용해 물질의 결정 구조를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후, W. H. Bragg와 W. L. Bragg는 Laue의 실험, X-선 회절을 해석할 수 있는 더
 간단한 형태로 표현하였다.
 브래그 법칙
 회절 현상은 각 각의 격자 면에서 반사된 X선의 보강 간섭 현상이다.
 경로차에 따른 보강간섭 조건
 입사선과 반사선의 경로차
 총 경로차
 특성 x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