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난소종양(ovarian tumors) |  
        |  |  
        |  |  
        |  |  
        | 목 차 
 Ⅰ. 정의
 Ⅱ. 분류
 Ⅲ. 증상
 Ⅳ. 원인
 Ⅴ. 진단
 Ⅵ. 경과 및 예후
 Ⅶ. 합병증
 Ⅷ. 치료
 Ⅸ. 간호
 ▣ 참고 자료
 
 ovarian tumors
 
 [사진1. Female Reproductive Anatomy]
 
 난소는 여성 골반내에 자궁의 양옆에 위치하며 주기적인 배란을 통한 생식 기능과 여성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상 난소는 가임 연령 시기에 지름이 약 3~4cm의 크기이며 폐경 후에는 크기가 작아진다. 난소에는 다양한 종류의 종양이 발생할 수 있는데 크게 분류하면 암에 해당하는 악성 종양과 암이 아닌 양성 종양으로 구분된다.
 
 [[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의 감별진단 ]]
 
 
 양성 종양
 악성 종양
 혹의 표면
 매끄럽다
 울퉁 불퉁하다
 주위 조직과 경계
 확실하다
 불 확실하다
 내부 모양
 단순하다
 복잡하다
 유두상 돌기
 없다
 있다
 칸막이
 없다
 있다
 복수 동반
 없다
 있다
 주위 조직과 유착
 없다
 있다
 
 난소종양의 2/3는 생식연령기에 발생하며 이 중 80~85%는 양성이다. 양성난소종양은 대부분 주기적 배란을 하는 20~40대의 가임기 여성에서 발생하지만 이중 약 5%는 소아와 사춘기에서 발생한다. 양성난소종양의 분류는 종양을 구성하는 조직세포의 종류에 의해 다양하게 나뉘며 연령별로 빈번히 발생하는 종류가 다르다 .
 젊은 연령에서 가장 흔한 것은 기능성 낭종(functional cyst)으로서 일시적이며 특별한 처치가 없어도 자연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난소종양이 낭성(cystic)인 경우 꼭 기능성 낭종과의 감별을 요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