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소성한계 -토질실험 결과 보고서 |  
        |  |  
        |  |  
        |  |  
        | 소성한계 -토질실험 결과 보고서 
 1. 시험 개요
 - 시험의 목적
 ⇒ 흙의 컨시스턴시 중 소성한계를 구하기 위함임.
 
 - 시험에서 결정하는 값의 공학적 의미
 ⇒ 소성지수와 액성한계는 상대적 관계가 있고, 이 관계는 흙의 분류에 이용되며, 흙의 역학적 성질 (투수성, 압축성, 강도)등을 추정하기 위한 예비적인 수단이다.
 
 2. 시험 방법 및 절차
 - 일반적인 시험 절차
 ① № 40 체 통과시료 약 15㎏f을 유리판 위에 펼쳐, 분무기로 증류수를 살수하면서 반죽한다.
 ② 잘 만들어진 흙덩어리를 유리(간유리) 위에 놓고, 1분에 80~90회 속도로 손바닥으로 밀어 균일하 게 3㎜정도 국수모양으로 만들고, 그 때의 흙이 부서지지 않으면 다시 반죽하여 함수비를 줄여가면 서 위 과정을 반복한다.
 ③ 지름 3㎜정도에서 부스러진다면 이때의 함수비를 측정하고, 그 값을 소성한계로 본다.
 ④ 부스러져 국수모양이 되지 않을 때 부슬부슬한 흙을 모아 함수비를 측정하고 이를 소성한계로 한다.
 ⑤ 흙을 소성판 위에서 시험할 때 손바닥 온도를 감안하여 약간 습윤도를 크게 한다.
 ⑥ 접촉 부위를 평량하여 노건조 시킨다.
 ⑦ 측정값을 정리하고, 계산한다.
 
 - 본 시험결과를 얻기까지의 시험 절차
 ① 실험실 사정상 미리 준비한 점토에 수돗물을 이용하여 반죽한다.
 ② 적당량의 시료를 간유리 위에서 지름 3㎜정도의 볼펜심 모양으로 성형한다.
 ③ 성형된 시료를 손바닥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체온으로 시료의 표면이 갈라진 논바닥처럼 될 때까 지 건조 시킨다.
 ④ 건조된 시료를 3개의 캔에 두개씩 넣고 무게를 측정한다.
 ⑤ 측정된 시료를 건조로에 넣어 105°±5℃로 자연건조 시킨다.
 ⑥ 자연 건조된 시료의 무게를 측정한다.
 ⑦ 측정값을 계산한다.
 
 - 본시험에서 필요한 시험 기구요약
 ① 유리판
 ② 스페출러(주걱)
 ③ 함수량 측정기구
 ④ 분무기(증류수)
 ⑤ 면 헝겊
 ⑥ 직경 3㎜의 봉
 ⑦ 시료용기(CAN)
 ⑧ 저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