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기능의 검사 폐기능 검사: 폐활량 측정
 폐기능 검사는 호흡할 때 폐의 변화를 측정하여 기관지, 폐의 확산능력과 전반적인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폐활량기(Spirometer) 사용
 폐기능 검사로 알 수 있는 질병- 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등 을 알수 있다.
 폐활량 측정법: 정적 노력성 폐활량 측정법
 유량 용량커브(Flow-volumn curve)
 최대호기 유량(PEF,peak expiratory flow )
 Vital Capacity (폐활량)
 1. 상시 호흡량 (Tidal volume, VT)
 - 정상 휴식기의 평균 환기량
 
 2. 예비 흡기량 (Inspiratory reserve volume, IRV)
 - 상시 호흡량 이상으로 흡기할 수 있는 최대 폐기량
 
 3. 예비 호기량 (Expiratory reserve volume, ERV)
 - 휴식기의 상시 호흡량에서 더 호기할 수 있는 최대 폐기량
 
 4. 폐활량 (Vital capacity, VC)
 - 최대로 흡기한 후 최대로 호기할 수 있는 총폐기량
 ⇒ VC = IRV + ERV + VT
 Vital Capacity (폐활량)
 5. 최대 흡기량 (Inspiratory capacity, IC)
 - 휴식기에서 흡입할 수 있는 최대의 공기용량
 ⇒ IC = VT + IRV
 
 6. 기능적 잔기량 (Functional residual capacity, FRC)
 - 어떤 힘도 폐에 작용하지 않은 정상적인 호기 후에 폐에
 남아있는 공기량
 
 7. 잔기량 (Residual volume, RV)
 - 최대 호기 후에 폐에 남아있는 공기량
 
 8. 총폐용적 (Total lung capacity, TLC)
 - 폐활량과 잔기량을 합한 총폐용적
 ⇒ TLC = VC + RV
 Vital Capacity (폐활량)
 PULMONARY FUNCTION STUDI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