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DNA ligase, 전기영동법에 관해 |  
        |  |  
        |  |  
        |  |  
        | 1. DNA ligase 
 DNA 복제 및 수복 때 2중 나선 중 한쪽 사슬의 절단부인 3 -하이드록시기와 5 -인산기를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시키는 효소로 주로 유전자 재조합 과정에 사용된다.
 효소반응에서는 Mg2++를 요구하며, 파지의 리가아제는 ATP를, 박테리아의 리가아제는 DPN(디포스포피리딘뉴클레오티드)을 필요로 한다. ATP와 DPN은 아데닌산과 효소복합체 형성에 이용된다. 복합체의 합성이 제1단계 반응이며, 제2단계에서는 이 복합체와 DNA가 반응하여 DNA에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해 AMP를 방출한다. 효소+DPN(ATP)78효소·AMP+NMN(PPi) 효소·AMP+DNA78DNA(연결)+효소+AMP 이 효소는 동물세포에서도 발견되며, 생체 내에서는 DNA복제, DNA수복에 관여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ligase는 T4 DNA ligase와 E.coli DNA ligase이다. T4 DNA ligase는 cofactor로 ATP를 필요로 하고, E.coli ligase는 NAD+를 필요로 한다. 이들 두 ligase는 blunt-ended DNA, cohesive-ended DNA, nicked DNA등에 모두 작용할 수 있으나 E.coli DNA ligase는 T4 DNA ligase와 비교할 때 blunt-ended DNA에 작용하는 힘이 약하므로 일반적인 유전자 재조합 과정에서는 T4 DNA ligase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 T4 DNA ligase와 E.coli DNA ligase의 특성 비교
 
 T4 DNA ligase
 E.coli DNA ligase
 분자량
 최적 pH
 보효소
 환원제
 ca. 62,000
 7.2 ~ 7.8
 ATP
 필요
 ca. 77,000
 7.2 ~ 7.8
 DAD
 불필요
 연결반응
 평활말단
 DNA5 P말단과 RNA3 OH말단
 RNA5 P말단과 DNA3 OH말단
 RNA끼리의 반응
 가능
 가능
 가능
 아주 조금 가능
 불가능(+PEG로 가능)
 가능
 불가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