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교실 바닥에 둥글게 배치된 여러 개의 작은 발판을 보자 첫 발판 위에 두 발을 모아 올리고, 다음 발판이 조금 더 오른쪽에 있으자 몸을 그쪽으로 틀어 한 발씩 조심스럽게 옮겨서며 균형을 잡고, 발판 중 하나의 높이가 조금 더 높자 손을 옆으로 벌려 중심을 유지하며 천천히 올라가고, 발판 간격이 넓어진 구간에서는 잠시 멈춰 발을 어디에 둘지 살펴본 뒤 한 발을 크게 들어 옮기고, 마지막 발판에서 편안하게 내려오며 자신이 이동한 방향을 손가락으로 따라 그려보는 모습으로 활동을 마무리하 였다.
투명한 작은 컵에 담긴 여러 개의 나무 씨앗 조각을 들고 컵을 살짝 돌리자 씨앗이 벽을 따라 원 모양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눈으로 따라가고, 컵을 멈추자 씨앗이 바닥으로 다시 모여 내려가는 것을 관찰하고, 빛 쪽으로 컵을 들어올리자 씨앗 표면의 무늬가 더 선명하게 보여 얼굴을 가까이 가져가 살펴보고, 씨앗한 개를 손바닥 위에 올려 굴려보며 까슬한 느낌을 손끝으로 확인하고, 마지막에는 컵을 천천히 내려놓아 씨앗이 흔들리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정리했다.
책상 위의 '물건의 높낮이 비교 그림 카드'를 바라보며 첫 번째 카드에서 작은 상자가 낮은 선위에 놓인 모습을 손가락으로 짚고, 두 번째 카드에서 상자가 조금 더 높은 선위에 놓인 모습을 보자 "여기 올라갔어"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상자가 가장 높은 선에 있는 모습을 확인하며 손을 위로 올려 "제일 위야"라고 표현하고, 이어 세 장을 바닥에 나란히 놓고 "낮고, 더 높고, 가장 높아"라고 순서를 다시 말하며 비교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포개어 조심스럽게 정리했다.
두 명의 또래가 길쭉한 나무패널을 이어긴 길을 만드는 놀이를 하고 있는 모습을 지켜보다가, 패널 하나가 뒤집혀 방향이 맞지 않자 그것을 들어 돌려놓으며 "이렇게"라고 말하고, 또래가 길을 더 잇고자 빈 공간을 찾을 때 바닥에 떨어진 패널을 찾아 건네며 자연스럽게 참여하고, 길이 너무 길어져 무너질 듯 흔들리자 뒤쪽에서 패널을 손바닥으로 살짝 잡아주며 균형을 도와주고, 정리 시간이 되자 패널을 길이 순서대로 나누어 상자에 넣으며 또래와 함께 활동을 마무리했다.
책상 위의 '그림 속 사물회 전 변화카드'를 바라보며 첫 카드에서 네모 상자가 앞면이 보이도록 놓인 장면을 손가락으로 짚고, 두 번째 카드에서 상자가 살짝 돌아가 옆면이 보이자 고개를 기울여 "이쪽으로 돌아갔어"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상자가 거의 뒤쪽을 향한 모습을 보며 손바닥을 뒤로 돌려 "여기 이렇게"라고 표현하고, 이어 세 장을 바닥에 나란히 두며 "앞, 옆, 뒤로 갔어"라고 순서를 정리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차곡차곡 겹쳐 상자에 넣었다.
책상 위에 놓인 '모양이 달라지는 사탕이미지 카드'를 바라보며 첫 카드에서 동그란 사탕을 손가락으로 짚고, 두 번째 카드에서 동일한 사탕이 살짝 눌려 타원형이 된 모습을 보자 "여기 길어졌어"라고 말하며 비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사탕이 더 길게 늘어난 모습에 손바닥을 펴" 이렇게 바뀌었어"라고 표현하며 변화를 설명하고, 세 장을 바닥에 나란히 두고"동그랗고, 길어지고, 더 길어졌어"라고 순서를 정리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겹쳐 정돈해 상자에 넣었다.
책상 위에 놓인 '그림 속 그림자 길이 변화카드'를 바라보며 첫 카드에서 짧은 그림자를 손가락으로 짚고, 두 번째 카드에서 같은 사물이 더 긴 그림자를 만드는 모습을 보자 "여기 길어졌어"라고 말하며 비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그림자가 가장 길게 늘어진 그림을 보며 손을 길게 뻗어 "이렇게 더 길어"라고 표현하고, 세 장을 바닥에 나란히 놓고 "짧고, 길고, 더 길어졌어"라고 변화 흐름을 다시 말해보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차곡차곡 정리해 상자에 넣었다.
바닥에 놓인 여러 개의 작은 원형 스티커점을 보고 첫 번째 점 위에 발끝을 올려놓으며 출발하듯 서고, 다음 점이 대각선 방향에 있어 몸을 살짝 틀어 조심스럽게 옮겨서며 균형을 유지하고, 이어지는 점이 가까이에 두 개 나란히 놓여 있어 양발을 번갈아 옮기며 동작을 자연스럽게 이어가고, 점 사이 간격이 넓어지는 부분에서는 팔을 옆으로 벌려 중심을 잡고 발을 크게 들어점에 맞추며 이동하고, 마지막 점에 도착한 뒤 자신이 지나온 원형점의 흐름을 뒤돌아보며 손가락으로 따라 그리듯 되 짚어보았다.
|
|
|
 |
그러다 또래가 막대두 개를 연결하려다 잘 맞지 않자 00이는 자신이 들고 있던 자석막대를 내밀며 "이걸로 해볼래?"라고 조심스럽게 제안했다.
이어 세 명이 나란히 자석막대를 이어가며 긴 길을 만들자 00 이는 "여기로 가자"라고 말하며 진행 방향을 제시했다.
활동이 끝나자 00이는 자석막대를 다시 상자에 넣으며 또래에게 "같이 해서 좋았어"라고 말하며 미소를 지었다.
00이는 여러 색물감을 면스틱에 찍어 종이 한쪽에서 시작해 곡선을 따라 점을 이어나갔고, 점이 이어지며 길처럼 보이자 손가락으로 따라가며 "여기 길 같아"라고 표현 했다.
교사가 책상 위에 놓은 '그림 속 사물 위치 맞추기 조각'을 바라보며 첫 조각에서 상자가 탁자 위에 놓여 있는 것을 보고 손가락으로 위쪽을 가리키고, 다른 조각에서 상자가 바닥으로 내려간 모습을 보자 "여기 내려갔어"라고 말하며 조각을 옆에 늘어놓고, 이어서 세 번째 조각을 보며 상자가 창가 쪽으로 옮겨진 것을 손가락으로 천천히 따라가며 "여기 갔어"라고 말하고, 이후 00이는 세조각을 바닥에 배열해 위치 변화 순서를 다시 확인하며 조각을 스스로 맞추고, 마지막에는 조 각들을 포개 들며 "여기다 있어"라고 말하며 정리했다.
발자국 스티커의 간격·방향을 확인하며 조절하는 이동능력, 사물의 위치 변화를 그림 조각으로 이해하는 시각적인 지 능력, 또래 활동에서 돌멩이를 찾아주고 간격을 맞추는 조력행동, 손가락 물감의 색·자국·변화를 살피는 예술감각, 씨앗의 움직임·무늬·빛 반응을 세밀히 관찰하는 탐구태도가 고르게 나타나고 있다.
경사·높낮이가 있는 쿠션 경로에서 움직임을 조절하며 균형을 유지하는 신체조절 능력, 표정 변화의 흐름을 따라가며 언어와 동작으로 표현하는 의사소통 능력, 또래놀이에서 방향 보여주기·잡아주기·건네주기 등을 자연스럽게 실행하는 사회적 행동, 잉크의 번짐·퍼짐·흐름을 세밀히 살피는 감각적 예술 탐색 능력, 조약돌의 색·빛·촉감·움직임을 관찰하는 탐구태도가 고르게 발달되어 있다.
향후 계획으로는 그림의 변화나 순서를 스스로 설명하는 언어 확장 활동을 제공하고, 잉크·물·자연물 등 물성 변화가 분명한 재료를 통해 감각 탐색 폭을 넓히며, 또래와 함께 연결·구성하는 활동을 늘려 협력 경험을 더욱 강화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두 명의 또래가 여러 개의 얇은 종이 스트립을 이어 긴띠를 만드는 놀이를 하고 있는 모습을 지켜보다가, 스트립 끝 부분이 조금 찢어져 연결이 어려워 보이자 그 부분을 살짝 잡아주며 "여기 이렇게"라고 말해 도와주고, 또래가 새로운 스트립을 잇고자 할 때 00이는 바닥에서 길이가 비슷한 스트립을 찾아 건네며 자연스럽게 활동에 참여하고, 스트립이 너무 길어져 바닥에 끌리자 00이는 뒤쪽에서 띠가 꼬이지 않도록 손으로 살짝 들어주며 함께 움직이고, 정리 시간이 되자 스트립을 색깔별로 나누어 돌돌 말아 상자에 넣으며 또래와 함께 작업을 마쳤다.
흔들림이 있는 보드 위에서 균형을 잡고 이동하는 신체 조절 능력, 장면 흐름을 따라가며 순서를 말로 정리하는 이해·표현 능력, 또래놀이에서 잡아주기·건네주기·들어주기 등 협력이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사회성, 물에 적신 색연필의 번짐·섞임·흐름을 세밀히 살피는 감각예술 탐색, 흙알갱이의 이동·집합·촉감 등을 관찰하는 탐구태도가 고르게 드러난다.
반원스텝이동에서 균형을 잡고 간격을 조절하는 신체조절 능력, 꽃의 개수·색 변화 등을 관찰하며 흐름을 설명하는 시각·언어 연결 능력, 코르크 조각을 세우고 건네며 자연스럽게 돕는 사회적 협력 행동, 색가루의 방향·농도·섞임 등을 세밀하게 살피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물속조개의 움직임·빛 반사·촉감 등을 관찰하는 탐구태도가 안정적으로 드러난다.
발판 간 위치·높이를 살피며 이동하는 균형조절 능력, 사물의 위치 변화와 존재 유무를 그림 흐름으로 연결하는 시각적 이해 능력, 실을 연결하거나 들어주며 또래를 자연스럽게 돕는 협력행동, 물감의 흐름·섞임·기울기 변화를 세밀히 바라보는 감각적 예술 탐색, 물속 자갈의 움직임·빛 반사·촉감을 관찰하는 탐구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향후 계획으로는 위치 변화·연속성 개념을 언어 표현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활동을 확장하고, 물감·물·가벼운 재료 등 움직 임이 변하는 감각 재료를 더 자주 제공하며, 또래와 함께 협력해 만드는 구성활동을 늘려 상호작용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지원할 예정이다.
길고 다양한 너비의 쿠션 위에서 균형을 조절하며 이동하는 신체조절 능력, 사물의 크기 변화를 관찰하고 말로 순서를 정리하는 시각·언어 연결 능력, 블록을 세우고 잡아주며 또래를 자연스럽게 돕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파스텔 가루의 번짐·섞임·빛에 따른 색 변화까지 세밀하게 관찰하는 예술감각 탐색, 나무 씨앗의 움직임·무늬·촉감을 탐색하는 과학적 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향후 계획으로는 크기·길이·양 등의 비교 개념을 확장하는 언어 활동을 제공하 고, 파스텔·가루·자연물 등 질감이 다양한 재료를 통한 감각 탐색을 넓히며, 블록·조각·구성 재료를 이용한 협력놀이 기회를 확대해 또래와의 조화로운 상호작용 경험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점선이동에서 간격·방향을 스스로 조절하며 이동하는 신체 균형능력, 사물의 위치 변화를 언어로 구분하여 표현하는 공간이해·의사소통 능력, 스펀지 블록을 세우고 잡아주며 또래 활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협력·사회성, 점토 알갱이의 눌림·퍼짐·섞임을 세밀히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깃털의 움직임·공기 흐름·촉감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자연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향후 계획으로는 위치·방향 개념을 언어적 활동과 연결해 표현을 확장하고 , 점토·가루·깃털 등 가벼운 재료를 더 다양하게 제공해 감각 탐색 범위를 넓히며, 또래와 함께 규칙·구조를 만드는 놀이를 통해 협력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지원할 예정이다.
세 갈래의 패드를 탐색하며 이동경로를 선택하고 균형을 조절하는 신체조절 능력, 방향의 변화를 시각정보와 언어로 연결해 표현하는 공간·의사소통 능력, 원형블록을 주워주고 흔들림을 잡아주며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물방울의 굴러 감·합쳐 짐·빛 반사 변화를 세밀하게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자석·구슬의 움직임과 반응을 비교하며 주의 깊게 살피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드러난다.
다양한 모양 패드를 탐색하며 방향과 간격을 조절해 이동하는 신체조절 능력, 물체의 높낮이를 시각정보로 비교하고 이를 언어로 정리하는 수학·언어 통합 능력, 나무 패널을 돌려 맞추고 잡아주며 또래와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색종이의 움직임·겹침·바람의 세기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플라스틱 조각의 반짝임·움직임·촉감을 탐색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터널매트의 높낮이·폭변화를 감지하며 신체를 조절해 이동하는 기어가 기조절 능력, 감정 변화를 시각 단서로 파악하고 언어로 순서화하는 의사소통 능력, 막대조각을 맞춰주고 잡아주며 또래와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포일 표면의 빛 반사·움푹함·주름 변화를 세밀하게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나무 조각과 잎조각의 무게·움직임·질감 차이를 탐구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서로 다른 모양의 발디딤표식을 탐색하며 방향과 간격을 스스로 조절하는 신체조절 능력, 사물의 회전 변화(앞→옆→뒤)를 시각적으로 파악해 언어로 정리하는 공간·관찰·의사소통 능력, 쿠션을 가져다 놓고 균형을 잡아주며 또래와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부직포에 스며드는 물감의 퍼짐·섞임·농도 변화를 오랫동안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별 모양 구슬의 움직임·빛 반사·질감을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드러난다.
곡선 테이프 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폭과 방향을 조절하는 균형·신체 조절 능력, 사과 수량의 변화를 관찰해 언어로 정리하는 수량이해·의사소통 능력, 고리를 가져다 놓고 모양을 유지해주며 또래와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천질감 위에서 색을 문지르고 겹치며 변화와 색감의 미묘함을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모래·나뭇가지 의 무게·속도·촉감을 비교하며 관찰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세모스티커의 방향과 간격을 고려해 이동하며 균형을 조절하는 신체조절 능력, 길이의 차이를 정확히 관찰해 언어로 순서화하는 수학·관찰·의사소통 능력, 폼 블록을 잡아주고 건네며 또래와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셀로판색의 투과·겹침·빛의 변화까지 세밀히 탐색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조약돌과 스펀지의 무게·움직임·질감을 비교하며 관찰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고르게 나타난다.
다양한 방향의 화살표 스티커를 따라가며 공간 방향과 이동을 조절하는 신체조절 능력, 무게 변화에 따른 저울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언어로 정확히 표현하는 관찰·의사소통 능력, 패드를 바로잡고 안정시키며 또래와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롤러의 압력·방향·색 변화에 따른 패턴의 차이를 세밀하게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가벼운 조각들의 움직임·빛 반사·촉감을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드러난다.
책상 위에 놓인 '모양이 달라지는 사탕이미지 카드'를 바라보며 첫 카드에서 동그란 사탕을 손가락으로 짚고, 두 번째 카드에서 동일한 사탕이 살짝 눌려 타원형이 된 모습을 보자 "여기 길어졌어"라고 말하며 비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사탕이 더 길게 늘어난 모습에 손바닥을 펴" 이렇게 바뀌었어"라고 표현하며 변화를 설명하고, 세 장을 바닥에 나란히 두고"동그랗고, 길어지고, 더 길어졌어"라고 순서를 정리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겹쳐 정돈해 상자에 넣었다.
언어로 정확히 표현하는 관찰·의사소통 능력, 육각형 블록을 방향에 맞춰 건네고 흔들림을 잡아주며 또래와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스펀지도장의 압력·각도·색 변화에 따른 패턴을 세밀히 바라보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젤리구슬의 움직임·빛 굴절·촉감을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고르게 나타난다.
향후 계획으로는 모양 변화를 더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는 언어 활동을 제공하고, 도장·구슬·빛과 관련된 감각 재료를 다양화해 탐색 깊이를 넓히며, 여러 조각을 협력해 구성하는 놀이를 확대해 또래와의 상호작용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지원할 예정이다
직사각형 매트의 방향·간격 변화를 고려해 이동하며 균형을 조절하는 신체조절 능력, 그림자의 길이가 달라지는 시각정보를 언어로 정확히 표현하는 관찰·언어능력, 삼각형 패널을 맞추고 지지해주며 또래와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롤러의 방향·색·속도 변화에 따른 선의 차이를 세밀히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비즈와 거즈의 무게·움직임·빛 반사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향후 계획으로는 길이·변화·속성 비교를 언어 활동과 연결해 확장하고, 롤러·색·선 등 시각 패턴을 탐색하는 감각활동을 풍부하게 제공하며, 또래와 함께 구조물을 만들고 유지하는 협력놀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을 계속 넓혀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원형점의 방향·간격을 고려해 이동하며 중심을 조절하는 균형·신체 통제 능력, 얼음의 변화를 순서대로 관찰하고 언어로 표현하는 관찰·의사소통 능력, 타원형 패널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원하며 또래와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스탬프의 겹침·각도·색 변화까지 세밀히 바라보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나뭇씨와 솜의 무게·움직임·촉감 차이를 탐색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드러난다. |
 |
모습, 조각, 위, 보다, 또래, 색, 마지막, 카드, 살짝, 모양, 손가락, 부분, 말, 바라보다, 더, 두, 작다, 들다, 바닥, 정리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