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펌웨어·모션 제어·보드설계 역량을 갖추기 위해 수행해온 경험과 기술 성장 과정
모션 제어 또는 서보 제어개발에서 가장 어려웠던 기술적 문제는 무엇이었나요
입사 후에는 프로텍의 제어기구조를 완전히 이해하며 실제 양산장비에 적용되는 서보 제어·보드설계·모션 알고리즘 개발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저는 펌웨어 개발과 모션 제어 경험을 기반으로 산업장비 제어 개발자로 성장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실무기반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습니다.
저는 제어기술이 산업장비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며, 프로텍처럼 자체 제어기를 개발하는 회사에서 기술적으로 성장하고 싶었습니다.고속·정밀 제어가 중요한 산업에서 펌웨어·보드·모션 알고리즘을 모두 다루는 환경은 매우 매력적이며, 제 경험과 기술적 관심이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런 방식은 실제 프로젝트에서 제어 지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
|
|
 |
제가 프로텍의 Controller(Board, Firm w are, MotionController, Servo제어) 개발 직무에 지원한 가장 큰 이유는 고정밀·고속장비 산업에서 '제어기술' 이 전체 장비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기술이라고 생각해왔기 때문입니다.
다 축모션 제어, 정밀서보 제어, 보정 알고리즘, 안정된 보드설계 등 전 영역을 자체 기술로 확보하고 있다는 점은 국내에서도 매우 경쟁력 있는 포지션이며, 저는 그러한 기술력을 가진 조직에서 성장하고 싶었습니다.
저는 대학·프로젝트·개발 경험을 통해 MCU 기반 펌웨어 설계, 센서 데이터 수집·필터링, PWM 기반 제어, PID 튜닝, CAN·SPI 통신 구조 설계, 실시간 모터 제어 등 기초적인 제어기 개발을 수행해 왔습니다.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더 고도화된 서보 제어, 고자료율(High-resolution) 엔코더 기반 피드백 제어, 다축경로보 간(MotionI nterpolation) 기술을 배우고 싶다는 열망이 커졌습니다.
입사 후에는 프로텍의 제어기구조를 완전히 이해하며 실제 양산장비에 적용되는 서보 제어·보드설계·모션 알고리즘 개발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저는 펌웨어 개발과 모션 제어 경험을 기반으로 산업장비 제어 개발자로 성장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실무기반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DMA·타이머·인터럽트 구조를 활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PID 기반 모터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해 간단한 2축 플랫폼을 직접 움직이는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두 번째 경험은 보드설계 프로젝트였습니다.
세 번째 경험은 로봇팔경로 제어 프로젝트입니다.
이외에도 CAN 통신을 활용한 멀티노드 제어, IMU 기반 자세 추정, 필터링 기술(KalmanFilter, Complementary Filter) 등을 프로젝트 단위로 수행하며 제어기 개발 전반의 기반을 구축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한 프로젝트에서 기구 설계팀은 진동 문제를 '기구적 설계 문제'라고 판단하고 있었고, SW팀은 '제어파라미터 문제'라고 주장하며 갈등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특정 구간에서만 진동이 발생해 원인을 찾기 어려웠는데, 데이터를 재현해 분석한 결과 하드웨어 신호간섭과 기구 공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문제였습니다.
이런 방식은 실제 프로젝트에서 제어 지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
 |
제어, 기술, 개발, 문제, 설계, 알고리즘, 보드, 기반, 제어기, 경험, 보, 장비, 싶다, 해결, 구조, 신호, 펌웨어, 프로젝트, 분석, 모션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