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략적 가족치료의 치료기법
따라서 전략적 가족치료는 문제를 분석할 때 '누가 잘못했는가' 를 묻지 않고, '어떤 상호작용이 문제를 유지시키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전략적 가족치료에서는 "문제는 잘못된 해결 시도에 의해 유지된다"라는 원리를 강조한다.
하지만 전략적 가족치료에서는 순환적인 과성을 강조한다.
전략적 가족치료에서는 문제는 잘못된 해결 시도 때문에 유지된다고 본다.
따라서 치료자는 증상에 긍정적 의미를 부여하여, 가족이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하고 대처하도록 돕는다.
특히 문제를 유지하는 핵심 요인을 상호작용 패턴, 권력과 위계구조, 가족의 규칙과 신념체계로 파악하며, 치료자는 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전략적으로 개입하는 주체적 역할을 담당한다.
Nichols, M.P., &Davis, S.D.(2020).Fam ilyTherapy: ConceptsandM ethods(12thed.). Boston: Pearson.
|
|
|
 |
또한 전략적 가족치료는 체계 이론(systemtheory)과의사소통 이론(commu nicationtheory)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문제를 순환적인과 관계 속에서 이해한다.
MRI 학파는 의사소통 패턴의 변화에 중점을 두었고, 헤일리·마다네스 학파는 권력과 위계구조를 강조했으며, 밀란 학파는 가족규칙과 신념 체계에 주목했다.
따라서 본보고서에서는 전략적 가족치료 이론의 기본 원리와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세 갈래학파(MRI 학파, 헤일리·마다네스 학파, 밀란학파)의 접근법을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하며, 치료기법을 정리함으로써 전략적 가족치료의 의의와 활용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전략적 가족치료 이론은 20세기 중반 가족치료의 흐름 속에서 등장한 독창적인 접근법으로, 개인의 증상을 가족 전체의 상호작용 맥락에서 이해하고 개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자녀의 문제 행동이 부모간 갈등을 중재하거나 가족의 관심을 한 곳에 모으는 기능을 한다면, 단순히 증상을 제거하는 것은 가족 전체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다.
전략적 가족치료의 기본원리는 문제를 가족 상호작용의 산물로 이해하고, 현재의 상호작용을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두며, 치료자가 전략적으로 개입해 새로운 해결방식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때로는 가족 내 문제가 바로 이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자녀의 문제 행동은 가족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적 증상'으로 작동한다.
즉, 가족 내 문제는 특정 원인 하나로 설명할 수 없으며,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 순환적으로 연결되어 문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자녀의 증상이나 행동은 단순한 개인 문제라기보다, 부모와 자녀 사이의 권력 다툼의 표현일 수 있다.
예컨대, 청소년이 학교에 가지 않으려는 행동은 부모의 통제에 저항하는 방식일 수 있으며, 이는 가족 내 권력구도를 흔들면서 문제를 유지시킨다.
전략적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은 의사소통 패턴, 가족항상성, 순환적인 과성, 권력과 통제, 증상의 기능적 이해, 문제 유지기제, 치료자의 전략적 개입으로 요약할 수 있다.
MRI 학파는 문제를 이해하고 개입하는 방식에서 몇 가지 기본 원리를 제시하였다.
MRI 학파는 문제의 기원을 과거에서 찾기보다, 현재 가족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문제를 유지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MRI 학파는 이론적 토대뿐 아니라,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법들을 제시하였다.
MRI 학파는 단순히 문제 해결을 넘어서, 가족 상호작용의 규칙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2차 변화를 추구하였다.
MRI 학파가 의사소통 패턴과 문제 유지 메커니즘에 집중했다면, 제이헤일리(JayHaley)와 클로에 마다 네스(CloeMadanes)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치료 전략을 발전시켰다.
헤일리·마다네스 학파는 가족치료를 "권력과 구조의 문제"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며, 치료자가 전략적 개입자로서 적극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밀란 학파의 특징은 가족 문제를 단순한 행동 패턴이나 권력구조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규칙과 신념체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했다는 점이다.
중립성 유지(Neutrality): 치료자는 가족 내 특정 편에 서지 않고, 모든 구성원의 입장을 존중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 때 치료자는 순환적 질문을 통해 각 가족 구성원이 서로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탐색하게 하고, 증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기존의 고착된 상호작용을 흔든다.
밀란 학파의 의의는 가족 문제를 규칙과 신념 체계의 관점에서 설명하며, 독창적인 개입 기법(순환적 질문, 의례, 긍정적 의미부여)을 통해 기존의 치료방법과 차별성을 가졌다는 데 있다.
효과 : 기존 증상이 역설적으로 해소되며, 가족은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게 된다.
치료자가 가족에게 구체적인 과제를 제시하여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게 만드는 기법이다.
의미 : 가족이 기존 방식과 다른 행동을 경험함으로써 변화 가능성을 직접 체험하도록 돕는다.
특히 밀란 학파에서 강조하는 기법으로, 증상이나 문제행동을 가족체계 내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이다.
재구성, 역설적 개입, 과제 부여, 순환적 질문, 위계구조 재정립, 의례, 긍정적 의미부여 등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가족의 고착된 상호작용을 흔들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전략적 가족치료의 치료기법은 이론적 논의에 머물지 않고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개입방법으로 발전하였다.
김혜란, 이경희.(2019).『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윤운성.(2018).『가족상담과 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학 지사. |
 |
가족, 치료, 문제, 전략, 학파, 상호작용, 행동, 부모, 변화, 증상, 개입, 자녀, 새롭다, 이론, 내, 구조, 단순하다, 유지, 기법, 권력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