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항공 안전과 고객 서비스에 대한 본인의 생각과 경험을 서술하십시오.
비행훈련 과정 중에는 기상악화 상황에서 접근이 거절되고 재이착륙을 판단해야 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또한 고객 서비스 측면에서도 조종사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조종사는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자이자, 고객과 소통하는 서비스 전달자의 역할도 함께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항공기를 운항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승객의 시각으로 생각하며 더 나은 안전과 서비스를 고민하는 조종사가 되고 싶습니다.
안전절차에 충실하고, 위기상황에서 승객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설명과 판단을 제공하는 조종사로서, 이스타항공의 브랜드와 운항품질을 책임질 수 있는 기장이 되겠습니다.
Q1.항공기 조종사로서 본인의 가장 큰 강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Q7. 조종사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
|
 |
장거리 비행 시 시뮬레이터에서 연료시스템 고장 시나리오가 주어졌고, 빠른 판단보다는 차분한 점검 절차가 요구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저는 조종사로서 '철저한 절차 이행'을 통해 안전을 확보하고, '고객의 시선에서의 배려'로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균형 있는 태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 서비스 측면에서도 조종사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조종사는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자이자, 고객과 소통하는 서비스 전달자의 역할도 함께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비팀, 객실승무원, 운항관리사 등과의 협업도 안전과 서비스 모두에 필수적입니다.
저는 항공기를 운항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승객의 시각으로 생각하며 더 나은 안전과 서비스를 고민하는 조종사가 되고 싶습니다.
안전절차에 충실하고, 위기상황에서 승객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설명과 판단을 제공하는 조종사로서, 이스타항공의 브랜드와 운항품질을 책임질 수 있는 기장이 되겠습니다.
기장으로서 협업을 이끈다는 것은 단순한 업무 조율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원들이 본인의 역할을 완벽히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항공사의 서비스 수준을 결정짓는 것은 결국 '운항의 정확성'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스타항공의 실용적이고 명확한 기업 철학이 제 성향과 잘 맞았습니다.
항공안전은 반복된 행동 속에서 습관화된 경각심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ICAO 및 국토부 관련 안전지침 변경이 있을 경우 정리해서 학습하고, 시뮬레이터 훈련 시에도 항상 위기상황을 가정한 대응 연습을 반복합니다.
Q3.기장으로서 부기장과의 관계를 어떻게 유지하시겠습니까?
Q4.기장으로서 가장 우려되는 상황은 무엇이며 어떻게 대비하고 계십니까?
Q5.지금까지의 항공훈련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경험은 무엇인가요?
가장 기억에 남는 훈련은 강풍속 활주로 착륙훈련이었습니다.
Q7. 조종사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가장 중요한 자질은 상황 판단력이라고 생각합니다.
항공 운항은 매뉴얼에 기반하지만, 모든 상황이 메뉴얼대로 흘러가지는 않기 때문에 기장은 수시로 판단을 내리고 결정해야 합니다.
Q8. 고객 응대에 있어 기장이 갖춰야 할 태도는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실제 단거리 노선 비행 시 도착지기상이 좋지 않았는데, 사전에 충분히 안내하여 승객들이 불안해하지 않고 착륙까지 잘 협조해주셨던 경험이 있습니다. 고객을 배려하는 태도는 기장에게도 반드시 필요한 자세라고생 각합니다. |
 |
상황, 운항, 기장, 조종사, 안전, 비행, 판단, 중, 훈련, 생각, 경험, 항공, 승객, 팀, 실제, 고객, 이스타항공, 절차, 이후, 서비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