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또한 병원의 학습문화에 적극 참여하여 최신 지식을 임상에 반영함으로써, 근거기반 간호를 실천하는 능동적인 간호사가 되겠습니다.
주치 간호사 선생님께 간호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해보며, 실제 임상판단에서 요구되는 사고 흐름을 체득하고자 노력했습니다.
간호사가 되기 위해 가장 노력했던 점은 무엇인가요?
가장 두려운 것은 임상 상황에서 실수를 범해 환자에게 해가 되는 일입니다.
5년 후 저는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며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판단을 신속하게 내릴 수 있는 임상 간호사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
|
|
 |
기본 간호학 실습에서는 정확한 활력 징후 측정, 무균술 적용, 감염관리 등 기본기를 다졌고, 이후 성인간호학 실습에서는 중환자실과 응급실의 간호현장을 경험하며 위기대응 역량을 키웠습니다.
대학병원 : 기본 간호학 실습, 성인간호학 실습, 모성 간호학 실습, 아동간호학 실습, 지역사회 간호학 실습
보건소: 지역사회 간호학 실습
요양병원 : 노인 간호학 실습
대학교 병원 응급의료센터 및 중환자실 : 응급간호학 실습, 중환자 간호학실습
대학교 병원 정신건강센터 : 정신간호학 실습
실습을 통해 다양한 연령대와 질환군의 환자를 만나며, 전인적 간호의 필요성을 체감하였고, 각각의 환경에서 요구되는 간호사의 역할과 협업방식에 대해 실질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간호의 목적은 환자의 안전과 회복이라는 점에서 모든 판단은 이 기준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갈등을 피하기보다, 환자에게 가장 나은 간호가 무엇인지 함께 고민하는 태도를 견지할 것입니다.
신규 간호사로서 가장 두려운 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은?
가장 두려운 것은 임상 상황에서 실수를 범해 환자에게 해가 되는 일입니다. |
 |
간호, 환자, 간호사, 실습, 간호학, 병원, 임, 질환, 상, 중환자, 센터, 력, 환경, 안산, 고려대학교, 경험, 역량, 되어다, 판단, 중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