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를 위해 데이터 분석과 교육정책,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공부해왔습니다.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획부터 실행까지 수행했던 경험을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대학 수업 중 '지방교육재정 활용 효율 성 분석'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교육 데이터 분석 전 과정을 기획하고 실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
|
|
 |
교육 데이터 분석 및 에듀테크 활용 역량을 키우기 위해 '교육 데이터 분석 기초', 'AI 기반 학습분석', '디지털 교육 정책 세미나' 등 총 120시간 이상의 교육과정을 이수했습니다.
특히 EBS, KERIS 주관의 '에듀테크리터 러시아 카데미'에서는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 설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교육 빅데이터 분석실습을 병행하며 수료하였습니다.
A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산하 디지털교육사업단에서 RA(ResearchAss istant)로 활동하며, 온라인 학습 플랫폼 개선 및 교육 데이터 분석과제를 수행했습니다.
이외에도 국내외 에듀테크 기업 사례 조사, 오픈 이노베이션 기반 교육 서비스 비교분석을 수행해 교육서비스 설계 전반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었습니다.
다양한 기관의 디지털 교육 실습과 교육통 계 세미나에 참여했고, Python과R을 활용한 분석역량을 독학하며 학습로 그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개인 프로젝트도 수행했습니다.
또한, 대학원 수업에서진 행한 '지역교육 격차 완화 시뮬레이션' 팀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안을 정리하는 역량도기를 수 있었습니다.
본인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점에 대하여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
 |
교육, 데이터, 분석, 기반, 경험, 기술, 학습, 정책, 역량, 설계, 서비스, 수행, 결과, 활용, 개선, 위해, 테크, 에듀, 디지털, 프로젝트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