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최신 간호 이론과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간호진단부터 목표 설정, 간호중재, 평가까지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환자 중심의 접근법과 윤리적 간호 원칙을 강조하여, 간호 계획의 설득력과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간호 과정으로 과제와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을수 있을거라 확신합니다.
* 체위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 질병관리의 복잡성과 관련된 지식부족
* 급성 발작과 관련된 호흡양상장애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및 이론적근거
2) 치료적 계획 및 이론적근거
3) 교육적 계획 및 이론적근거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숨을 쉴 때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서 힘들어요."
"최근 몇 주 동안 기침이 계속해서 나고, 가슴에 무언가 쌓인 느낌이 들어요."
"밤에 자다가 자주 깨고 숨이 차서 불편해요."
"기침을 하면 가슴이 아프고, 숨쉬기가 점점 더 어려워져요."
"계속해서 피곤하고 몸이 무겁게 느껴져요."
"차가운 공기를 마시면 기침이 더 심해지고 숨쉬기가 더 어려워져요."
"운동을 하면 쉽게 숨이 차고, 평소보다 훨씬 피로감을 느껴요."
2) 객관적 자료
- 환자는 현재 "천식" 진단을 받았고, 만성적으로 호흡 곤란과 기침을 호소한다.
- 환자는 호흡 시 "쌕쌕" 소리가 나며, 가슴의 압박감을 호소한다.
- 체온은 정상 범위(36.8°C)이나, 호흡수가 22회/분으로 증가해 있다.
- 청진 결과, 양측 폐에서 천명음과 함께 가벼운 기침이 나타난다.
- 폐활량 측정에서 60% 이하의 폐활량 감소가 확인되었다.
- 환자는 호흡이 어려운 상태에서 가슴을 움켜잡고 있으며, 자주 기침을 한다.
- 산소포화도는 91%로, 정상 범위보다 낮다.
- 환자는 앉아서 호흡을 하는 자세로 체위를 취하고 있으며, 누워 있으면 호흡곤란이 심해진다.
5. 간호수행
(1) (3월21일) 문진을 통해 대상자의 평소 호흡 상태와 기침 빈도를 조사했다. 대상자는 “가끔 숨이 차고, 특히 밤에 자다 호흡이 어려워 깨어나는 경우가 많아요. 기침은 아침에 자주 나고, 가슴이 꽉 막히는 느낌이 들 때 기침을 많이 해요”라고 말했다. 기록에 따르면, 환자는 과거에도 천식 발작이 있었으며, 최근 2주간 기침이 점점 더 심해지고 호흡 곤란이 동반된다고 한다. 객관적으로 호흡수는 24회/분, 산소포화도는 92%로 측정되었고, 가벼운 흉부 음향을 들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가스교환장애가 심화된 상태임을 확인하고, 기도 확장을 위한 흡입기 사용을 권장했다. 이때부터 흡입기를 하루 2회씩 사용하도록 하였고, 수분 섭취를 늘리도록 권장하며 호흡기 증상 완화를 위해 꾸준히 모니터링했다. (3월22일) 환자는 흡입기 사용 후 기침 빈도가 감소하고, 호흡이 조금 더 원활해졌다고 보고하였다.
(2) (3월22일) 환자의 폐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FEV1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FEV1은 65%로 낮은 수치를 보였고, 이는 천식 증상이 악화된 것을 시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호흡 보조를 위해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4시간마다 산소포화도와 호흡수를 측정하기로 하였다. 산소포화도는 92%에서 94%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환자는 “흡입기를 사용할 때는 호흡이 조금 더 편안해지는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폐기능 개선을 위한 약물 조정 및 교육을 강화하였다. |
|
|
|
|
 |
김영숙, 박상숙. 천식 환자의 자가관리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 대한간호학회지, 45(3), 320-328.
이민경, 송미정. 천식 환자의 호흡기능 개선을 위한 간호 중재. 호흡기간호학회지, 20(2), 175-182.
김현정, 이정희. 천식 환자의 증상 관리 및 약물 순응도 향상을 위한 간호 개입. 대한호흡기학회지, 33(4), 401-408.
정수진, 김유진. 천식 환자의 치료적 관리와 교육적 접근. 간호교육학회지, 40(1), 47-55.
이수정, 박지혜. 천식 환자에 대한 심호흡 운동 교육 효과. 건강증진간호학회지, 28(3), 290-297.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