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합리론에서의 정념의 문제,데카르트,말브랑슈,스피노자,홉스,로크, |  
        |  |  
        |  |  
        |  |  
        | 정념 합리론과 경험론에서의정념의 문제
 합리론에서의 정념의 문제
 데카르트
 말브랑슈
 스피노자
 경험론에서의 정념의 문제
 홉스
 로크
 흄
 합리론에서의 정념의 문제데카르트
 이원론: 영혼과 물체, 사유와 연장을 분리
 정념론: 영혼과 신체의 상호작용을 전제
 
 모순
 합리론에서의 정념의 문제데카르트
 원초적관념
 -사유: 영혼과 신에게 적용,
 순수지성의 활동을 필요로 함
 -연장: 모든 물체에 적용되는 것,
 지성의 활동을 요구
 -인간: 영혼과 신체의 연합,
 실천적 지혜를 추구하는 역할
 정념의 상호작용은 인간과 외부 대상들 사이에서 이루어짐
 → 모순의 문제 해결
 합리론에서의 정념의 문제데카르트
 정념
 
 데카르트의 정념론은 실천적 유용성을 목표로 하여 전통적인 정념론을 개혁
 - 영혼의 분할이론에 기초한 전통적 이해방식 비판
 정념의 정의: 지각이나 감각내용 또는 영혼의 동요
 정념의 발생과정:
 외부자극 → 신경기관 안의 정기들 운동
 → 뇌 안의 송과선을 자극 → 정념 발생
 - 발생원인을 신체에서 찾음
 합리론에서의 정념의 문제데카르트
 정념의 분류와 열거
 정념론을 하나의 학문으로 확립
 여섯가지 기초정념들:
 놀람, 사랑, 미움, 욕망, 기쁨, 슬픔
 정념의 순서:
 놀람/ 사랑과미움/ 욕망과 기쁨,슬픔 순
 (첫째 기준은 새로움 또는 단순성 둘째 기준은 이로운 지 해로운지, 셋째 기준은 시간)
 → 영혼의 분할이론에 기초한 종적 구별에서 벗어남, 정념들 사이에 일체 파생관계를 허락하지 않음
 합리론에서의 정념의 문제데카르트
 정념의 기능
 
 정념의 긍정성을 강조 정념을 인간의 존재의 보존을 위해 곡 필요한 것으로 이해
 영혼과 신체의 연합체인 인간의 고유성에 비롯되는 자연적 조건이며 인간의 존재보존을 위해 필요함. 이를 위해 2가지 구별 이해해야 함
 - 정념과 의지의 구별(수동성과 능동성), 정념과 내적동요 사이의 구별(영혼 동요의 발생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