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강화란 특정 행동이 일어난 이후에 그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자극이나 결과를 말한다.
강화는 행동을 증가시키는 반면, 처벌은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이다.
또한 강화와 처벌 모두 일관성 있게 적용되어야 하며, 행동 직후에 결과가 주어져야 학습효과가 높다.
조작적 조건 형성에서 강화와 처벌은 학습자의 행동을 조절하는 핵심 기제이다.
|
|
|
 |
본 레포트에서는 조작적 조건 형성에서의 강화와 처벌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각 개념에 해당하는 실제적인 예를 통해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강화란 특정 행동이 일어난 이후에 그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자극이나 결과를 말한다.
부적 강화(negativereinforcement)는 불쾌한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운전자는 경고음을 없애기 위해 자발적으로 안전벨트를 매게 되며, 이는 부적 강화를 통해 행동이 강화된 경우이다.
처벌이란 특정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극이다.
강화와 마찬가지로 처벌도 '정적 처벌'과 '부적 처벌'로 구분된다.
정적 처벌(positivepu nishment)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후에 불쾌한 자극을 부가하여 그 행동의 발생 빈도를 낮추는 것이다.
부적 처벌(negativepu nishment)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후에 좋아하는 자극을 제거하여 행동의 빈도를 낮추는 것이다. |
 |
행동, 강화, 처벌, 자극, 결과, 바람직하다, 이론, 형성, 조건, 위해, 제거, 조작, 경우, 증가, 학습, 불쾌하다, 긍정, 억제, 부정, 제공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