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품사의정의.품사의분류기준,품사에대한문제의식 |  
        |  |  
        |  |  
        |  |  
        | 품사 목차:
 
 1 품사의 정의
 2 품사의 분류기준
 품사에 대한 문제 의식
 결론
 목차:
 
 1 품사의 정의
 2 품사의 분류기준
 품사에 대한 문제 의식
 결론
 품사란:
 단어를 그 문법적 성질에 따라 나눈 class를 말한다. 즉 문법적 성질에 의하여 나눈(word-class) 하나하나가 곧 품사다.
 목차:
 
 1 품사의 정의
 2 품사의 분류기준
 품사에 대한 문제 의식
 결론
 목차:
 
 1 품사의 정의
 2 품사의 분류기준
 품사에 대한 문제 의식
 결론
 품사에 대한 문제 의식
 1 형용사 동사
 2 존재사 있다/ 없다.
 3 접속사의 품사
 4 의존명사와 조사
 5 ‘-이다’ 의 품사
 6 조사를 단어로 볼수 있는가
 형용사 vs 동사
 1 반의어가 품사가 같지 않은 것
 늙다/젊다 있다/없다 크다/작다
 
 2 문맥에 따라 품사가 달라지는 단어
 맞다 / 밝다 / 늦다 / 있다 / 크다
 형용사 vs 동사
 1 약아빠지다, 게을러빠지다
 말라 빠지다, 불어 터지다,
 
 2 재미있다 / 재미나다
 
 3 힘들다
 품사에 대한 문제 의식
 1 형용사 동사
 2 존재사 있다/ 없다.
 3 접속사의 품사
 4 의존명사와 조사
 5 ‘-이다’ 의 품사
 6 조사를 단어로 볼수 있는가
 존재사 ( 있다 vs 없다)
 
 1 존재사의 개념
 
 2 존재사가 품사 결정에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
 
 활용될 때 동사, 형용사 측면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
 존재사 ( 있다 vs 없다)
 ① 평서형 : 형용사와 같이 활용된다.
 ex) 큰 박물관이 있다. / 책이 없다.
 ② 관형사형 : 동사와 같이 활용된다.
 ex) 큰 박물관이 있는 도시 / 책이 없는 사람
 ③ 의문형 : 동사와 같이 활용된다.
 ex) 있느냐 / 없느냐
 ④ 감탄사형 : 형용사와 같이 활용된다.
 ex) 있구나 / 없구나
 존재사 (있다 vs 없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