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사의 경계에 대한 논의- 명사, 관형사, 부사를 중심으로 - 목 차
 1. 서론
 
 2. 명사-부사
 
 3. 명사-관형사
 
 4. 관형사-부사
 
 5.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1. 서론
 . 이 목걸이는 진짜가 아니었어.
 
 . 군대에 다녀와야 진짜 남자가 되지.
 
 . 문법론 선생님은 진짜 예뻐.
 
 기능적 차이  명사, 관형사, 부사
 But 의미론적 차이는 없다
 1. 서론
 . 짱 좋군.
 
 . 짱이에요!
 
 짱 - 특정한 어휘가 여러 품사의 성질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
 1. 서론
 품사 통용 현상(Conversion)은 품사의 모호성을 그 원인으로 하는 것으로, ‘동일한 형태의 어휘가 의미상의 관련성을 유지하면서 상이한 통사 범주로 기능하는 현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김인균, 《국어의 명사 문법》, 연락, 2005년, 17쪽.)
 1. 서론 4 부류의 품사 혼용
 명사-부사
 
 명사-관형사
 
 관형사-부사
 
 자립명사-의존명사
 2. 명사-부사
 . 소식을 듣고 어머니는 무척 기뻐하셨다.
 . 그는 그 신비의 보석이 정말로 있다고 믿었다.
 . 과연 예상한 대로였다.
 2. 명사-부사교차 범주적 현상의 발생
 그는 육십을 한 평생으로 세상을 떠나 버렸다.
 
 평생 씻지 못할 불명예라 생각한 그는 수치심을 느꼈다.
 
 서로가 힘을 합치면 두려울 것이 없다.
 
 그 둘은 서로 사랑한다.
 2. 명사-부사관형사절의 수식을 받는 부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