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선박 기본설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국제선 급 기준(IMO, DNV 등)을 고려한 설계 또는 학습 경험이 있나요?
또한 MARPOL에 따른 이중 선체 설계 기준을 적용해 화물 탱크 구획 구조를 설계한 경험도 있습 니다.
3년 내에는 탱커, 벌크선, LNG선 등 주요 상선의 기본설계 프로세스를 체득하고, 선형 설계부터 구조 배치, 선급 기준 적용까지 실무능력을 갖춘 설계 엔지니어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
|
|
 |
특히 삼성중공업은 LNG선, 해양플랜트, 자율운항 기술까지 다양한 첨단 선박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기본설계에서도 구조적 안전성뿐 아니라 친환경성과 미래 대응력까지 고려하는 점에서도 전욕구를 느꼈습니다.
실제로 제가 학부 프로젝트에서 구상한 15,000TEU급 컨테이너선 설계 역시 초기 기본설계 단계에서의 판단이 성능과 경제성에 큰 영향을 끼쳤기에, 이 직무의 전략성과 기술성에 매력을 느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해양구조물 설계 프로젝트에서는 ANSYS를 활용해 종강성 계산과, 횡방향 하중에 따른 구조응력을 해석하여 보강재배치 방향을 조정했습니다.
AutoCAD와 Rhino를 활용한 선체도 면제작, GHS로 부력 및 복원성 계산, NAPA를 이용한 선형 생성 및 초기 안정성 해석 경험이 있습니다.
특히 GHS를 이용한 탱커 복원성 해석에서, 비대칭탱크 배치로 인한 트림 문제를 수정해 안정성을 확보한 경험이 있습니다.
엔진실을 중심으로 중량 밸런스를 재구성하고, 연료탱크를 구조적 중심에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복원성을 확보하면서도 연료 배관길이를 단축해 자재비를 절감했습니다.
또한 엔진실과 탱크실의 방폭기준을 맞추기 위해선 급 기준을 적용해 안전성도 검토했습니다.
IMO의 EEDI 기준, SOLAS 규정, MARPOLA nnex VI, DNV의 선형 구조 기준 등을 학습하고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환경 연료 적용 시 연료탱크의 형상, 중량, 방폭기준이 모두 변경되며, 자율운항을 위한 센서 및 통신장비의 공간배치, 전자파 간섭고려 등 새로운 요소들이 기본설계 단계에서부터 반영되어야 합니다. |
 |
설계, 기준, 배치, 경험, 고려, 선박, 성, 구조, 기본, 해석, 선형, 연료, 친환경, 실제, 단계, 적용, 프로젝트, 기술, 선, ghs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