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정성분비의 법칙 탄산염들의 CO2 생성반응을 통한 일정성분비 법칙 확인
 
 1. 실험제목 : 탄산염들의 CO2 생성반응을 통한 일정성분비 법칙 확인
 
 2. 실험 목적 : 염산과 탄산염을 반응시킬 때,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의 무게 변화나,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기체의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각각의 탄산염이 어떤 화합물인지를 알아낼 수 있다. (두 가지 탄산염 (Na2CO3, NaHCO3)) 또 이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물질의 반응에서 일정성분비의 법칙이 성립함을 증명할 수 있다.
 
 3. 실험 이론
 두 탄산염 Na2CO3, NaHCO3과 HCl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질량보존 법칙에 의해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이 정확히 같고, 두 가지 다른 반응에서 생성된 CO2의 성분이 일정하다면, 일정성분비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Na2CO3에서 CO2가 빠져나갈 때, 무게가 ( 41.5 )% 감소할 것이다.
 NaHCO3에서 CO2가 빠져나갈 때, 무게가 ( 52.4 )% 감소할 것이다.
 
 [조사할 내용]
 (1) 몰(mole)
 ☞물질에 있는 입자의 수를 나타내는 SI단위계의 단위
 1 몰 (mole); 정확히 12g의 ¹²C에 포함되어 있는 탄소원자의 수
 어떤 물질 1몰: 6.022 X 10²³ 단위
 Avogadro 수 : 6.022 X 10²³
 
 몰농도(molarity, M)
 ☞용액 1리터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몰수로 나타낸 농도. 단위는 mol/ℓ 또는 M으로 나타낸다.
 
 M = 용질몰수/전체 용액 L수
 
 (2) 화학반응식의 균형 맞추기
 반응식의 균형 맞추기
 ① 균형안된 반응식을 쓴다.
 ② 반응물과 생성물의 각 원자의 수가 같도록 계수를 조정한다.
 ㉠ 반응식 중 가장 복잡한 화학식을 선택한다.
 ㉡ 반응식에 같은 원소가 들어있는 화합물이 3개 이상일 때 이 원소를 균형맞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