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착화법 적정 |  
        |  |  
        |  |  
        |  |  
        | 착화법 적정 - EDTA 표준용액 만들기- 아연의 정량
 목차
 실험 목적
 이론/원리
 - 착화합물
 - 리간드
 - EDTA
 - EBT
 - 적정
 EDTA 표준용액 만들기
 아연의 정량
 실험 목적
 
 EDTA -2Na으로 표준용액을 만들고 아연금속을 사용하여 표정할 수 있다.
 착화합물이란
 1개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이온을 중심으로 몇 개의 다른 원자,이온,분자 또는 원자단 등이 입체적으로 배위하여 하나의 원자집단을 이루고 있는 것
 
 Ag+ + 2 : C-  N: [〓] :N C-Ag--C N:
 
 전자쌍을 받을자리(중심 금속이온)
 주게되는 전자쌍(리간드)
 착물
 
 배위 결합을 하고있는 화합물
 
 Ligand가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생성된 배위화합물
 배위
 배위
 : 분자 또는 이온이 한 원자를 둘러싸는 구조
 배위 원자
 : 직접 결합 하는 원자
 배위수
 : 배위 원자 수
 배위 결합
 : 결합에 관여하는 두 원자의 한쪽만이 결합을 형성하는 전자쌍 제공
 리간드 Ligand
 
 한자리 리간드 : 한 금속 이온과 하나의 결합을 형성하는 리간드
 
 두자리 리간드 : 금속에 두개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리간드
 
 여러자리 리간드 : 고립 전자쌍이 있는 원자가 두개 이상 존재하여 금속과 두개 이상의 결합을 할 수 있는 리간드
 금속 이온과 결합을 형성하는데 쓸 수 있는 비공유 전자쌍이 하나 또는 그 이상 존재하는 중성 분자나 이온
 킬레이트
 
 금속과 이온 결합
 두자리 이상의 리간드가 중심 금속 원자와 배위결합
 Chela = 집게
 고리 모양 구조의 착물 생성
 킬레이트제
 
 금속이온 봉쇄제
 
 여러자리 리간드
 금속 배위 화합물
 금속착염
 :금속과 한자리 리간드로부터 형성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 금속과 여러자리 리간드로부터 형성
 킬레이트 시약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NTA (Nitrilo-Tri-Acetic acid)
 CyDTA (1,2-Cyclo-hexadiamine Tetra-Diamine-Acid)
 CyDTA
 N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