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서울시의 음식거리, 그 형성배경과 발달과정 |  
        |  |  
        |  |  
        |  |  
        | 서울시의 음식거리,그 형성배경과 발달과정 CONTENTS
 WHAT: 지역음식이란
 
 WHERE: 서울시의 음식거리들
 
 WHY HOW: 대박, 그리고 그 이유
 
 AND THEN..: 결론과 생각해볼 점
 
 WHAT: 지역음식이란
 지역음식
 ll
 “그 지방에서 생산되는 재료를 그 지방의 조리법에 의하여, 과거로부터 그 지방 사람들이 먹고 있는 것”
 재료는 해당 지역의 특산품
 아니면 지역 특유의 조리법
 아니면 지역 특유의 가공법
 또는 조상들이 준비한 음식들 중 유명한 것
 지리학에서 음식에 관한 연구
 최근에서야 식생활에 초점을 맞춘 연구 등장
 
 음식문화는 그 지역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되고, 역사·이주·퓨전에 대해 이야기 가능
 
 질문: “대도시의 음식거리는 어떠한 형성배경과 과정을 통하여 발달하였을까”
 WHERE: 서울시의 음식거리들
 서울시의 음식거리들: 조작적 정의
 ‘서울시 지명에 특정 음식이 결합되어 사회·문화적으로 일반화 된 음식을 판매하는, 동종 업종의 음식점들이 밀집되어 있는 거리’
 지명+음식=음식거리
 
 무교동 낙지거리, 청진동 해장국거리,
 마포 갈비거리, 왕십리 곱창거리,
 신림동 순대거리, 신당동 떡볶이거리,
 장충동 족발거리, 오장동 함흥냉면거리
 8개 중 5개가 종로구, 중구에 위치
 무교동 낙지거리
 1960년대 초 무교동의 선술집거리에서 인기
 
 중심업무지로 다수의 유동인구가 고객층
 
 1970년대 도심 재개발 사업으로 해체
 
 친척이나 종업원, 낙지 취급업자 중심으로 음식점 확산
 ⇒독특한 조리법이 동종 음식점의 확산에 영향
 청진동 해장국거리
 1920년대 종로구청 앞 시장의 팔도 상인들을 대상
 
 통금 시기 이른 아침부터 영업이 가능해 직장인이나 밤새 도심에 있는 사람들, 유흥업소 종사자들에게 인기
 
 70~80년대 중반에 초기에 운영하던 음식점 종업원들이 주변에 음식점 개업
 ⇒음식점 특성상 공간확장이 주로 가족이나 지인을 통함
 왕십리 곱창거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