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차이론- 생물사회학적이론을 중심으로 개 요
 성의 결정에 따른 인간발달의 특성 이해
 남녀간의 생물학적 차이로 인해 고정관념적이고 편견에 바탕을 둔 차별적 성역할의 문제(성차, 심리적, 사회적 이해가 요구)
 참고서적
 1. 가족관계(정현숙, 유계숙),신정
 2. 발달심리학. 송명자(1995), 학지사
 3. 성역할과 여성(임정빈,정혜정), 학지사
 4. 성과심리, 송관재, 학문사,2000
 5. 성행동심리학, 채규만, 학지사
 6. [성차의 문제점과 페미니스트 이론], 쥬디스 버틀러
 7.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한상원
 8. 내분비학 자료, 경희대 의대 김영설 교수
 9. 인류진화사 모델에 나타나는 여성의 모습 박순영(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0. 부산일보 2005기사
 성차이론의 개요 및 특징
 전통적인 성차는 생물학적 성에 의한 자연발생적으로 인간행동이해
 성 역할의 특징 역시 운명적(남성:정복적,정치적,지배적 여성:수동적, 피지배적)
 성의 역할에서 여성은 양육, 정서적 지지 남성은 정치, 경제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 역할에 대한 재조명 요구됨
 성차의 발달(입증된 성차)
 성차의 발달(입증되지 않은 성차)
 (a) 남아의 사고가 여아보다 분석적이며 인지적 처리능력이 높음
 - 시공간적 능력이 관여되지 않는 인지과제나 논리적 추론능력에는 성차 없음.
 - 암기, 확률학습, 개념형성 등의 과제 수행을 비교한 결과 남아의 인지처리능력
 여아보다 우수하다는 주장은 잘못된 통념
 (b) 남아가 여아보다 자아 존중감과 성취동기가 높음
 - 사회적 편견에 불과
 (c) 여아가 남아보다 더 사회적이며, 더 피암시적이라는 주장
 - 여아와 남아의 사회적 대상에 관심은 동일하며, 사회적 학습정도에도 차이가 없음.
 집단에 동조성에도 성차가 없음.
 성차이론에 대한 관점
 생물학적 성의 결정에 대한 역사적 관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