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다중회귀 |  
        |  |  
        |  |  
        |  |  
        | 다중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기본개념
 등장배경
 회귀라는 용어는 영국의 생물학자이며 통계학자인 F. Galton(1822-1911)이 C. Darwin(1809-1882)의 진화론을 반증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사용
 K. Pearson(1857-1936)은 Galton의 이러한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1,078가족의 부자간의 신장자료를 이용하여 아버지의 키(X)와 아들의 키(Y)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일차 함수관계식을 구함
 
 Y=33.73+5.16X (inch)
 현실세계에서는 설명변수 하나만으로는
 ⑴설명력이 부족
 ⑵유의한 설명변수 간 영향력 비교가 요구
 
 다중회귀분석 등장
 
 다중회귀분석의 목적
 ⑴ 여러 개의 독립변수로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모형을 만들 수 있음
 
 ⑵ 모형의 적합성, 각 회귀계수의 크기, 결정계수의  크기 검정할 수 있음
 
 ⑶ 여러 개의 독립변수 중에서 유의한 변수만  선택하여 유의한 모형을 만들 수 있음
 
 ⑷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비교할 수 있음
 추정 및 검정
 회귀계수의 추정
 오차항의 제곱합 Q는
 최소자승법(OLS;Ordinary Least Squares)에 의한 회귀계수의 추정은 제곱합 Q를 각 에 대하여 편미분하고 이를 0으로 하는 다음과 같은 연립방정식을 풀어 들을 구하는 것
 
 추정 및 검정
 앞의 연립방정식을 만족하는 ß를 ß 라 하면 다음 관계가 성립하는데 이는 정규방정식임
 
 따라서 베타의 최소자승추정량은 다음과 같다
 
 모형에 대한 추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