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현황과전망] 한-중 경제관계 발전과 제조업 공동화 문제 |  
        |  |  
        |  |  
        |  |  
        | 한-중 경제관계 발전과 제조업 공동화 문제 
 가. 한-중 경제관계 현황
 
 한국의 대중 투자와 양국간 무역액이 1992년 수교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바, 특히 2000년 이후 급속한 발전추세에 있음.
 
 - 양국간 무역액은 중국측 통계로는 1992년 50.3억불에서 2005년 1119.3억불로서 22.3배 증가
 
 - 한국의 대중국 투자(실행액 기준)의 경우, 2005년 1년 투자액은 51.7 억불이며, 누계액은 311억불
 
 한국의 대중 투자는 1990년대 전반 섬유의류의 노동집약형 경공업 위주에서 1990년대 후반 전자통신, 석유화학, 수송기계 등 중공업 위주로 전환하였음.
 
 - 2001-2005년간 업종별 투자 순위는 전자통신(23.6%), 수송기계(14.5%), 석유화학(11.4%), 섬유.의류(10.5%), 기계장비(9.5%)
 
 양국간의 무역은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생산증가에 따른 생산부분품 및 자본재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 한국이 중국에 대해 강한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산업내 무역이 활발함.
 
 - 한국무역협회가 계산한 대중국 품목별 무역특화계수에 따르면, 화학공업제품(0.58), 플라스틱․고무․피혁제품(0.40), 기계류(0.69), 전자전기제품(0.26) 등에서 한국이 중국에 수출 경쟁력 보유
 ....
 |  
        |  |  
        |  |  
        |  |  
        |  |  
        | 
			                
            
            |  | 제조업 공동화와 대응방안 |  | 한국노사관계의 협력적 전환 패러다임 |              
            
            |  | 제조업 공동화 문제 및 대책 |  | 인도 경제발전, 과정, 우리나라 경제 발전과의 .. |              
            
            |  | 싱가포르 경제발전, 성공요인, 과정, 우리나라 .. |  | 제조업 분야 중심의 한-미 FTA 체결과 향후 전망 |              
            
            |  | 자메이카, 홍콩, 인도의 경제발전, 정책, 성공.. |  | 중국 경제발전, 성공요인, 발전과정, 우리나라 .. |              
            
            |  | 인도의 경제발전, 성공요인, 과정, 우리나라 경.. |  | 노동시장의 양극화 문제에 대해서 |              
            
            |  | 싱가포르의 경제발전, 성공요인, 과정, 우리나.. |  | [현황과전망] 남한과 러시아의 경제 관계변화 |              
            
            |  | 제조업 한계론과 1990년대 이후 산업구조의 변.. |  | 카타르의 경제발전, 성공요인, 과정, 우리나라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