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국토균형발전_행정도시_세종시_혁신도시_기업도시_국가경쟁력향상_국토균형_지방신도시_신도시_행정수도 |  
        |  |  
        |  |  
        |  |  
        | 국토균형발전과 지방신도시건설 행정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
 3
 
 1. 국토의 균형발전의 필요성
 4
 
 ■ 국토의 11.8%를 차지하는 수도권에 인구의 48.6%(’06)가
 거주하고 있으며, 외국에 비해 매우 과도한 집중
 - 수도권 재정자립도는 70%가 넘는 반면, 지방은 20~30% 수준
 1. 국토의 균형발전의 필요성
 5
 1. 국토의 균형발전의 필요성
 6
 1. 국토의 균형발전의 필요성
 7
 1. 국토의 균형발전의 필요성
 8
 1. 국토의 균형발전의 필요성
 10
 
 2. 국토의 균형발전정책 변화
 
 국토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극집중의 국토구조를 다핵분산형 구조로 재편
 11
 
 2. 국토의 균형발전 정책 변화
 12
 
 국토균형발전정책의 변화
 ■ 참여정부는 수도권 집중을 억제하는 소극적 정책에서 탈피하여
 지방의 자생적 발전을 지원하는 새로운 국토경영패러다임 제시
 
 1. 국토의 균형발전 정책 변화
 15
 ■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고 지속가능한 모범도시를 조성
 3-1. 행정도시 건설의 개요
 16
 3-1. 행정도시 건설의 개요
 17
 ■ 교통여건
 고속도로 : 경부, 호남,
 논산-천안, 대전-당진
 
 철도 : KTX, 경부선
 
 국도1호선, 36호선
 ■ 지리적 위치
 서울에서 약 120km
 대전, 청주에서 각 10km
 청주공항에서 24km
 충청권의 중심지역
 3-1. 행정도시 건설의 개요
 18
 ■ 이전대상 중앙행정기관
 12부 4처 2청 등 49개 기관을 이전 (통일·외교·국방·행자부 등 6개 부처 제외)
 이전기관의 소속 공무원은 10,374명 (’05년 정원 기준)
 ※ 각종 위원회 등은 2014년에 이전
 ■ 정부청사의 배치
 효율성을 고려하여 업무연관성을
 기준으로 6개 기능군으로 구분
 ■ 이전시기
 ’12~’14년까지 순차적으로 이전
 상징적 기관 및 경제부처 우선 이전
 3-1. 행정도시 건설의 개요
 19
 3-1. 행정도시 건설의 개요
 21
 
 새로운 도시건설 패러다임 제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