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험제목 : 선운동량과 보존 법칙 
 □ 실험목적
 공기 미끄럼대를 이용하여 1차원 탄성충돌과 비탄성충돌 실험에서 선운동량이 보존됨을 확인한다.
 
 □ 실험 기구 및 재료
 공기 미끄럼대, 송풍기, 활차, 포토게이트 계시기, 수평계, 추, 저울, 자
 
 □ 실험원리
 운동량 P는 물체의 질량 m에 그물체의 속도 를 곱한 양으로 정의된다. 즉,
 = m
 로 나타내며, 벡터량으로 속도와 같은 방향이다. 그리고 운동량 보존법칙이란 고립계 즉 계 내의 입자들은 서로 상호작용하지만 계 외부와는 상호작용하지 않는 계의 총 운동량은 보존된다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1 = 1 + 2 + 3 + ․․․ = 일정
 
 입자들이 서로 충돌할 경우,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르면 충돌 전의 운동량의 합은 충돌 후의 운동량의 합과 같다.
 
 m1
 m2
 12
 m1
 m2
 1
 2
 
 충돌전 충돌후
 그림 8.1 : 두 물체의 충돌 전후의 상태
 
 ▲ 완전 탄성 충돌인 경우
 일차원에서 정지(2=0)해 있는 한 물체에 다른 한 물체가 속도 1으로 충돌하는 경우 충돌 후 두 물체의 속도를 구해보자. 그림 8.1과 같이 충돌한 후 물체 1과 물체 2의 속도가 각각 ’1과 ’2으로 주어질 때 완전 탄성충돌의 경우 운동량과 에너지가 모두 보존되므로
 m11 = m1 1 + m2 2
 m1v12 = m1v 12 + m2v 22
 이 된다. 두 식을 연립하면
 v 2 = v1
 v 1 = v1
 로 주어진다. 따라서 충돌 후 물체 2는 항상 양의 속도가 되지만 물체 1은 질량 m1과 m2의 크기에 따라 속도가 0, 음 또는 양이 된다.
 
 ▲ 완전 비탄성 충돌
 질량 m인 물체가 정지(2=0)해 있고, 질량이 m1인 물체가 속도 1으로 충돌한 후 두 물체가 결합하여 속도가 2이 되었을 경우 운동량은 보존되지만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는다. 운동량 보존의 원리에 의하면
 1 + 2 = 1 + 2 ⇒ m1 1 = (m1+m2) 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