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일반 물리학 실험 - 선운동량 보존 법칙 |  
        |  |  
        |  |  
        |  |  
        | 일반 물리학 실험 - 선운동량 보존 법칙 
 1. 실험 목적
 
 공기 미끄럼대를 이용하여 1차원 탄성충돌과 비탄성충돌 실험을 하여 충돌 전후의 선운동량과
 운동에너지의 변화를 알아본다.
 
 2. 실험 원리
 
 운동량 은 물체의 질량 에 그 물체의 속도 를 곱한 양으로 정의된다. 즉
 
 (8.1)
 
 로 나타내며, 벡터량으로 속도와 같은 방향이다. 그리고 운동량 보존 법칙이란 고립계 즉 계 내의 입사들은 서로 상호작용 하지만 계 외부와는 상호작용하지 않는 계의 총 운동량은 보존된다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2)
 
 입자들이 서로 충돌할 경우,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르면 충돌전의 운동량의 합은 충돌 후의 운동량의 합과 같다.
 
 그림 8. : 두 물체의 충돌 전후의 상태
 
 a. 완전 탄성 충돌인 경우
 
 일차원에서 정지(해 있는 한 물체에 다른 한 물체가 속도 으로 충돌하는 경우 충돌후 두 물체의 속도를 구해보자. 그림8.1과 같이 충돌한 후 물체 1과 물체2의 속도가 각각 과 으로 주어질때 완전탄성 충돌의 경우 운동량과 에너지가 모두 보존되므로
 
 (8.3)
 (8.4)
 
 이 된다. 두 식을 연립하면
 
 (8.5)
 (8.6)
 
 로 주어진다. 따라서 충돌 후 물체2는 항상 양의 속도가 되지만 물체1은 질량과 의 크기에 따라 속도가 , 음 또는 양이 된다.
 
 b. 완전 비탄성 충돌
 질량 인 물체가 정지()해 있고, 질량이 인 물체가 속도 으로 충돌할 후 두 물체가 결합하여 속도가 이 되었을 경우 운동량은 보존되지만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는다. 운동량 보존의 원리에 의하면
 
 (8.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